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덕분에 X선은 물체를 만났을 때 그대로 통과하거나 흡수되는데, 물체를 통과하고 남은
빛
을 감광필름에 쬐면 물체 내부의 모습이 찍혀 나온다.그렇다면 꽃에 X선을 쬐면 어떨까. 과연 꽃잎들로 둘러싸인 중심부도 겉모습만큼이나 아름다울까.X선 영상에 찍힌 자색목련에는 화려한 색감이 표현되지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작아지거나 커진다. 곧이어 배우들이 무대 위로 다시 등장하고 대형 스크린에는 은
빛
비눗방울 폭포가 나타난다. 움직임이 클수록 비눗방울은 점점 많아지고 더 커진다.재미있는 점은 스크린에 나오는 장면은 원래 만들어 놓은 것이 아니며 무대 위에는 음향효과를 내는 커다란 스피커도 보이지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김태희 씨를 옥수수수염차의 모델로 내세워 V라인 열풍을 몰고 왔다. 황금
빛
옥수수수염차의 인기는 날로 치솟고 있다. 2006년 7월 첫선을 보인 광동 옥수수수염차는 올해 9월 현재 4억 병이 넘게 팔렸으며 많은 회사들이 앞다퉈 옥수수수염을 원료로 한 차 음료를 내놓고 있다. 우리 조상들도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이루는 별은 나이가 많아 식은 탓에 붉은색을 띠는 반면, 청색왜소은하는 파란
빛
을 내는 막 태어난 뜨거운 별이 많다. 성 박사는 “청색왜소은하의 중심에서는 가히 폭발적으로 별이 탄생한다”며 “이는 왜소은하 주변의 천체가 조석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즉 우주 초기에 수소 가스가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상위 계급의 설정이 일관적이지 못하고 자의적이라 이런 장점이
빛
을 잃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자산어보는 어류를 다루고 있는 저술임에도 불구하고 개류(介類)에서는 패류(貝類)나 갑각류(甲殼類)들을, 잡류(雜類)에서는 조류(鳥類), 해조류(海藻類)까지 다루고 있다. ... ...
오감으로 관람하는 체험형 과학전시회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특징과 성질을 한눈에 알 수 있는
빛
의 합성과 회절 같은 초실험부터 광통신의 원리,
빛
을 이용한 광발전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속속들이 파악할 수 있는 실험까지 직접 해볼 수 있다. 또한 함수발생기와 클라드니판을 이용하면 다양한 진동수의 정상파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무늬를 볼 수 있다.귀로 ... ...
생활 곳곳에 자리잡은 χ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둘러싼 음극관에 고압전류를 흘려 보냈더니 관에서 1m 떨어진 형광판에서 이상한 불
빛
을 발견했어. 그 사이에 손을 집어넣었더니 사람의 뼈가 찍히더란 거지. 지금도 뼈가 부러지면 병원 가서 찍어보는 X선이 처음 발견된 순간이야.TV나 영화에서도 미스터리 x님은 유명해. 외계인이나 불가사의한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필요해졌다. 전기전도도나 열전도도 같은 일반적인 특성뿐 아니라 강한 자성이나 높은
빛
굴절률 같은 독특한 능력을 갖춘 소재가 개발돼야 할 시점인 것이다.자성이 강한 단결정은 차세대 컴퓨터 메모리인 M램을 만드는 소재로 쓰일 수 있다. M램을 장착한 컴퓨터는 전원을 껐다 켜도 작업하던 ... ...
숨겨진 통로‘플랫폼 9와 3/4’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투명 망토처럼 특수한 시각효과가 필요한 물건을 개발하려는 과학자들도 메타 물질이
빛
을 특이하게 굴절시키는 특성을 이용한다.첸 박사는 “두께 300~800nm(나노미터, 1nm=10-9m) 정도 되는 아철산염 메타 물질로 숨겨진 통로를 만드는 중”이라며 “이 문 앞에 서 있으면 마치 거울 앞에서 있는 느낌일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물체 표면 근처에는 파장보다 훨씬 짧은 영역의 정보를 갖고 있는 근접장(near-field)
빛
인 소멸파가 있다. 문제는 소멸파의 세기가 거리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조금만 떨어져도 사라진다는 것.실제로 근접장의 소멸파를 이용해 가시광선으로 파장의 절반 이하인 크기를 구분할 수 있는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