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학생을 선발한다”고 밝혔다. 한국과학영재학교는 국내 8개 영재학교 중 유일하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로 정부지원을 받아 운영하는 이공계 영재를 위한 학교다. 때문에 의학이나 약학 계열 대학으로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지원하지 말아야 한다. 한국과학영재학교 재학생이 의·약학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골고루 퍼뜨린다. 뚜르비옹이 오차를 완전히 없애주지는 못하지만, 만드는 데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고 생김새가 아름다워 인기 있는 추가 기능이다. 사람이 직접 태엽을 감지 않아도 되는 기계식 손목시계도 있다. 이런 시계에는 위 사진처럼 ‘로터’라 불리는 반달 모양의 금속이 있다. 시계를 ... ...
- Part 2. 미리 알고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위치를 cm 단위까지 정확히 알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으로 지진을 감지하는 기술이 개발되면 지진관측소를 세울 수 없는 가난한 나라에서도 지진에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포항에서 서울까지 흔들~! 지진에서 살아남기Part 1. 한눈에 보는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저는 국제사회에 필리핀의 기후변화 피해를 줄이기 위한 비용과 기술 지원을 요구했어요. 이틀에 걸쳐 진행된 본총회에서는 실제 UN총회의 규율과 형식에 따라 회의를 진행했고, 모두가 최선이라고 생각한 결의안을 채택했어요. 자신이 속한 국가만을 생각하는 것이 ... ...
-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있답니다. 뇌와 뇌를 연결하면 최면술 성공!다른 사람을 내 생각대로 움직이게 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어요. 지난 2013년, 미국 워싱턴대학교 연구진이 사람끼리 뇌를 연결하는 실험에 성공했거든요. 실험에는 컴퓨터학과의 라제시 라오 교수와 심리학과 안드레아 스토코 교수가 참여했어요. 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졸업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반사시켜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에너지를 줄이는 기술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없애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어요. 하지만 지구공학이 오히려 환경을 오염시키고, 정확히 결과를 예측할 수 없어 경계해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크답니다. “올 겨울 찾아온 소녀의 이름은 ‘라니냐’예요!”오후 ... ...
- Part 4. 무너진 건물에서 사람을 구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생겼을 땐 사람들을 구조하는 기술이 필요하지. 붕괴 현장에서 사람을 구하는 첨단 기술을 만나 볼까? 꾸물꾸물~, 뱀 로봇이 사람을 구한다?!무너진 건물 잔해에서 생존자를 찾는 일은 무척 어려워요. 사람이 직접 잔해의 좁은 틈을 비집고 들어가기가 힘들고 위험하기 때문이지요. 이에 과학자들이 ... ...
- Part 2. 스마트 시티, 도시가 똑똑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떠오르고 있어요. 스마트 시티는 사물 인터넷, CCTV 등에서 수집한 데이터와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도시예요. 최근 스웨덴의 한 데이터분석회사가 발표한 ‘2017 스마트시티 지수’에서 덴마크 코펜하겐이 1위를 차지했어요. 코펜하겐은 2025년까지 100% ●탄소 중립을 ... ...
- [현장 취재] 야생동물을 위해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야생동물 서식지 문제를 돕자!’라는 목표로 메이커 프로젝트에 도전한 지구사랑탐사대! 총 10개 팀이 지난 10월 21일, 최종 제작물을 발표하기 위해 모였어요. 지구에서 야생동물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도전했던 지난 5개월의 여정을 함께 만나 볼까요? 망치고, 실패하고, 다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하는 거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소가 주최하는 ‘캔위성 체험 경진대회’가 매년 열리고 있어요.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팀을 이뤄 캔위성을 만들고, 팀별로 정한 창작 임무를 잘 구현한 팀을 가려요.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 ...
이전2842852862872882892902912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