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포커 인공지능의 승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사람이 있는가하면, 카드가 좋지 않아도 베팅을 하는 사람도 있다. 리브라투스는 이런 기술까지 쓰면서 프로 포커 선수들과 승부했다. 기계는 표정이 드러나지도 않고 심리를 들킬 일이 없기 때문에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완벽한 ‘포커페이스’를 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떻게 상대의 마음까지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소리를 1/60 초마다 믹싱해 채널 하나에 담은 다음 들려준다. 믹싱한 결과를 압축하는 기술도 필요했다.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는 낼 수 있는 소리의 크기에 한계가 있다. 여러 개의 음원을 합치면 그만큼 소리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더뮤지션은 소리의 크기가 일정 수준을 넘으면 실시간으로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마찬가지로 뉴럴 레이스 개발은 오래 걸리겠지만 그 과정에서 뇌와 관련된 수많은 기술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Part 3. 호모 ... ...
- [과학뉴스] 그래핀과 포스포린 장점만 모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제어할 수 있는데다가 전하 이동도 빨라진 셈이다. 김 교수는 “물질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을 통해 고성능 반도체 소자 개발에 한걸음 다가갔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스’ 2017년 11월 29일자에 실렸다 .doi:10.1103/PhysRevLett.119.22680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상으로 만든 비행생명체(오른쪽 그래픽)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AI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 기반 강화학습 기법을 적용해, 가상의 비행생명체가 장애물을 피해 스스로 날아다닐 수 있는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교수는 “폴더블폰을 만들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은 삼성디스플레이에서 모두 개발한 게 아니라 11개 대학의 연구진과 협업한 결과”라며 대학과 기업의 협업을 강조했다. 일부는 대학에서 연구한 결과를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진이 생산 공정에 적합하도록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의학적 성과도 확인했다. 김성강 로보케어 대표는 “현재 사회적 약자를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지만 향후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범용 로봇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집에 혼자있는 아이의 표정을 읽어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로봇이 부모의 냄새를 전달하는 등 정서적 소통까지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점도 주목할 만하다. 박일흥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2017년 8월 15일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한 ‘실리콘 전하량 검출기(SCD)’를 ISS로 보냈다. ISS에 탑재된 첫 한국산 대형 실험 기기로 로봇팔을 통해 ISS의 외부 모듈에 장착됐다. SCD는 ISS에서 진행 중인 ‘크림(CREAM)’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어떻게 수리했는지는 상세하게 나와 있지 않다. 그는 “부재를 다루기 위한 전통 연장 기술도 사실상 맥이 끊겼다”며 “부재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도구들을 복원하고 사용법 시연회를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2018년에는 수장고를 직접 방문할 수 있는 체험 기회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날 처음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원하는 인재상도 이와 일맥상통한다”고 말했다. 자소서에는 어떤 노력을 했는지 기술때문에 KAIST는 선발 과정에서 지원자의 과학적인 소양을 중요하게 평가한다. 신 입학처장은 “지원자 대부분이 고등학교에서 수행한 과학 활동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며 “연구를 진행해 소논문을 쓰는 R&E ... ...
이전281282283284285286287288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