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진 나면 공중부양하는 건물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9월 5일 일본의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와 히타치 제작소, 세쓰난대학교 합동 연구팀이 건물을 공중에 띄워 지진을 피하는 장치를 개발했어요. 이 장치는 압축공기를 내뿜는 힘으로 건물을 지면에서 0.06mm 정도 띄운답니다. 맨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울 만큼 얇은 공기층이에요. 하지만 이를 통해 ...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대부분 중력에 의해 땅 속으로 내려가 맨틀이나 핵에 많이 존재하고 있어요. 현재 채굴 기술로는 이렇게 깊숙이 있는 금속 자원들을 채취하는 것이 어렵지요. 소행성은 태양계의 행성들이 만들어지고 남은 물질들이 뭉쳐져서 만들어지는데, 여기엔 철을 포함한 금속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수확하게 됐고, 이로써 국가는 크게 성장할 수 있었지요. 이와 동시에 강철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무기도 만들 수 있었어요. 우수한 철을 손에 많이 쥐고 있을수록 농작물생산과 전쟁에서 더 유리했기 때문에, 결국 철은 힘의 상징이 됐답니다. “철이 힘과 권력의 상징이 되면서 사람들은 ... ...
- [현장 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 내 손으로 야생 동물을 지켜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지구사랑탐사대에서는 올해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를 새롭게 시작했어요. ‘야생동물의 서식지 문제를 도와 주자!’라는 주제로 10개 팀이 도전에 나섰지요. 지난 9월 9일, 메이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대원들이 두 달 동안 고민한 중간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가 마련됐어요. 성공보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26m 더 깊은 곳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일본 해양연구기구의 오구리 가즈마사 주임기술연구원은 “이 정도 심해에 물고기가 있다는 게 반가웠다”며, “앞으로 샘플 채취 등을 통해 심해의 생태계를 더 자세히 밝히겠다”고 말했어요 ... ...
- 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이상민 연구위원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아직 재진입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어요. # 현재는 미국과 영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5개 국가가 공식 핵보유국이야. 그리고 인도, 이스라엘, 파키스탄, 북한 4곳은 비공식 핵보유국이지. 하지만 19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소행성과 건물이 안정적으로 돌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필요하다는 거죠. 앞으로 과학기술이 더 발전한다면 상상 속에 서나 가능했던 소행성에 거꾸로 매달린 건물이 실제로 지어질 수 있을까요? 친구들도 함께 상상해 보세요~ ... ...
- [과학뉴스] 패션도 내게 맡겨! 움직이는 액세서리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지난 해 사람의 몸 위를 움직이는 미니 로봇 ‘로버블’을 만든 적이 있어요. 이 기술을 바탕으로 ‘키노’라는 이름의 새 액세서리 로봇을 만들었지요. 키노는 자석의 힘으로 두 개의 바퀴를 고정해 옷 위를 떨어지지 않고 움직여요. 마치 브로치나 액세서리처럼 여러 무늬를 만들 수 있고, 벨벳과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휴~, 도로를 건너다 하마터면 멧돼지 같이 빠르게 달려드는 거대한 물건에 치일 뻔했네. 이렇게 위험한 도시에 왜 떼로 몰려오게 됐냐고? 우리도 다 사정이 있지. 북한산은 지금 하늘소에게 안성맞춤!지난 여름 왜 갑자기 서울에 하늘소 떼가 나타난 걸까요? 그 원인으로는 먹이와 날씨, 생체 주기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통해 케이블이 어떤 방식으로 설치돼야 하는지, 그리고 케이블이 안정되게 하려면 어떤 기술이 더 필요한지 알아내려고 해요. Q. 또 다른 우주 엘리베이터도 연구되고 있나요?더 발전된 실험을 위해 최근에 초소형 위성을 하나 더 만들었어요. 이번에는 케이블을 설치할 2개의 위성 외에도 ... ...
이전287288289290291292293294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