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ESS)예요.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는 보조배터리처럼 전기가 남을 때 미리 충전했다가, 필요한 상황에 꺼내 쓰는 방식이에요. 특히 전기 사용량이 적은 밤에 남은 전기를 저장하고, 낮에 꺼내 쓰면 전기 비용을 줄일수 있어요. 또 전력망의 주파수와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자연재해로 인해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개발로부터 생물의 서식지를 보호하려면 그곳에 생물이 살고 있다는 증거자료가 꼭 필요해요. 파주 법흥리의 수리부엉이 서식지는 제가 2002년 즈음부터 조사를 해온 곳이라, 증거자료가 충분히 마련돼 있었어요. 많은 분들과 함께 서식지 보호 활동을 하면서 생물의 서식지를 지켰을 때 얻을 수 ... ...
- 게임으로 충격을 치료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무엇일까요? 뇌는 회상하는 동안 ‘작업기억’을 사용해요. 작업기억은 일상 생활에 필요한 기억을 짧게 저장하는 곳이에요. 인간이 작업기억에 잠시 저장할 수 있는 정보는 평균 7가지라고 알려져 있어요. 만약 난민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공포스러운 기억을 떠올리면 작업기억은 모두 기억을 다시 ... ...
- [활주로] 활주로가 도넛 모양? 미래형 공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해요. 원활한 비행을 위해 신호나 노선 등 하늘길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지요.소음도 문제예요. 특히 도심 속 공항이 만들어지면, 더 많은 사람들이 항공기의 소음에 불편을 겪을 거예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새의 날개를 모방해 구부러진 형태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나면 배는 케이블을 설치할 바다로 떠나요. 이때에도 케이블 설치를 도와 줄 여러 장비가 필요하지요. 먼저 GPS로 케이블을 놓을 정확한 위치를 찾아요. 그리고 배에서 바다로 케이블을 천천히 내려놓지요. 수심이 얕은 곳은 사람이 직접 잠수해 설치하거나 커다란 쟁기를 써요. 마치 밭을 가는 것처럼 ... ...
- [보안] 심사와 검색을 한 번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정보가 신원이나 비행 정보를 대신하기 때문에, 여권이나 비행기 티켓을 따로 들고 다닐 필요가 없어요. 실제로 지난 1월 중순부터 김포와 제주도를 오가는 여행객들은 신분증 대신 생체 정보로 신원을 확인한 뒤 공항을 이용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활주로가 도넛 ... ...
- [과학뉴스] 공중 스턴트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있어요. 이곳에서는 놀이 기구부터 가상현실, 영화에 쓰이는 특수 효과까지 디즈니가 필요로 하는 기술을 개발하죠. 디즈니는 공학자들과 함께 혼자서 묘기를 선보일 수 있는 스턴트 로봇을 개발해왔어요. 올해 5월에는 뒤로 공중제비를 넘을 수 있는 막대 모양의 로봇 ‘스틱맨(Stickman)’을 ... ...
- [편리함] 로봇으로 공항 길찾기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에어스타’가 운영되고 있어요. 출국장과 면세점, 입국장 등 여행객들의 안내가 많이 필요한 곳 주변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지요. 인천국제공항공사 스마트공항팀 홍서연 과장님은 에어스타의 가장 큰 기술은 ‘정확도 높은 음성인식’이라고 강조했어요.“안내 로봇은 음성인식률을 높이는 게 ... ...
- [실전! 반려동물] 앵무새 자꾸 새장에 머리를 박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종이 많고, 무리를 짓지 않더라도 꼭 짝과 함께 지내요. 즉, 앵무새에겐 함께 지낼 존재가 필요한 거예요. 보호자가 외출이 잦다면 여러 마리의 앵무새를 함께 키우는 것이 좋아요. 앵무새는 하루 중 많은 시간을 혼자 지내면 우울하거든요. 증상이 심해지면 스스로 자기 깃털을 뽑는 등 자해행동을 할 ... ...
- [사냥법] 식충식물, 슉~ 빨아들이고, 미로에 가두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식충식물 대부분은 땅이 항상 물에 잠겨 있는 습지대에서 살아요. 이런 곳에는 식물에게 필요한 형태의 질소가 부족해요.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질산이온을 만드는 미생물이 살지 못하기 때문이죠. 그러다 보니 식충식물은 영양분을 곤충에서 얻을 수 있도록 진화했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 ...
이전281282283284285286287288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