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항공기체계부 전대근 책임연구원은 “현재는 하늘길을 만들기에 앞서 필요한 체계와 개념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는 단계”라면서 “앞으로 SF 영화처럼 길과 신호를 만들면, 안전하고 빠르게 하늘길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115년이라는 시간 동안 비행기가 이렇게 많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혼자 가려고 하죠?” “게임에 갇혀 있는 시간이 길수록 빠져나갈 때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거든! 여기에 10년이나 갇혀 있던 내가 나가려면 아이템의 에너지를 혼자 사용해야 하지! 하하! 앞으로 너희끼리 잘 해 보라고!” 다급한 순간, 수호의 눈에 반짝이는 은색 물체가 들어왔어요! “구름 ... ...
- [핫이슈] 크리스마스를 훔쳐라! 그린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무엇일까요? 암컷 순록을 찾아라!작전의 첫 단계는 순록 훔치기! 썰매를 끌 루돌프가 필요하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그린치는 수많은 순록 중 어떤 순록을 골라야 할까요? 루돌프의 상징은 뿔과 빨간 코예요! 이를 만족하기 위해선 암컷 순록을 고르는 게 좋아요. 순록은 사슴과 달리 수컷과 ... ...
- 레이저 쏘아 외계인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 노력했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제임스 클라크 연구원은 거꾸로 외계 생명체가 지구를 찾도 ... 가능성을 조사하는 단계기 때문에 실제로 인공조명을 만들기 위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슈퍼그리드’라고 한답니다. 이렇게 전력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력망이 필요해요. 이때 사용되는 것이 ‘초고압직류송전(HVDC) 기술’이지요. HVDC 기술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직류로 먼 곳까지 전달해요. 직류를 이용하면 새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멀리까지 보낼 수 있다는 ... ...
- [실전!반려동물] 댕댕이를 살리는 응급처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빨리 말려 주는 것이 좋아요. 예방이 우선이지만, 만일의 사태를 위해 저체온증일 때 필요한 응급처치도 알아둬야 하지요. 반려견이 몸을 바들바들 떨며, 맥박이 약해지고 몸의 끝부분이 차가워진다면 저체온증일 가능성이 높아요. 심한 경우 귀나 코, 발바닥, 꼬리 끝부분이 창백해지고 붓기도 ...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씨앗 표면에 미생물을 씌웠어요. 이 미생물은 공기 중에서 질소를 먹은 뒤 식물에게 필요한 비료로 바꿔요. 이 비료는 식물이 흡수할 수 있지요. 연구에 참여한 워싱턴대학교의 샤론 도티 교수는 2016년에 식물이 미생물의 도움을 받으면 가뭄과 같은 나쁜 환경에서 잘 견딜 수 있다는 것을 ... ...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한반도와 가까운 곳 중에서는 일본 오키나와와 오사가와라 해역에 살고 있지. 도움이 필요할 땐 언제든 나를 불러. 나는 위험에 빠진 친구를 잘 구해준단다. 2018년 1월에는 남태평양에서 스노클링을 하던 사람을 구해준 적이 있어. 일리 : 친구들이랑은 어떻게 의사소통해? 혹등고래 : 우리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공중에서 이를 잡은 뒤 안전하게 ISS에 도킹시킨다. 이 보급선 안에는 과학 실험에 필요한 여러 장비들과 ISS에서 지구 궤도에 직접 띄울 소형 위성들이 들어 있었다. 일상 2 태양 대신 전구로 생체리듬을 조절하라! ISS에서는 하루에 16번씩 해가 뜬다. 이때문에 해가 지면 자고 해가 뜨면 일어나는 ... ...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돌아왔다”며, “사라지는 물고기들을 지키기 위해서는 지사탐 대원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소감을 말했답니다. 구피, 너가 거기서 왜 나와?! 김수환 박사님은 우리 하천에서 피라냐와 구피를 발견한 것으로도 유명해요. 구피는 집에서 흔히 기르는 열대어로 베네수엘라가 고향이에요. ... ...
이전2772782792802812822832842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