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모저모] 식충식물 BEST 3!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키울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식충식물을 위해 일부러 많은 벌레를 잡아줄 필요는 없어요. 특히 몇몇 종류의 식물은 벌레의 움직임을 느껴서 소화액을 분비하기 때문에 죽은 벌레를 잡아주는 것이 역효과를 낼 수 있지요. 또한, 식물은 잎을 움직이는 데 큰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그러므로 ... ...
- [현장취재 2] 첨벙첨벙! 갑천에 민물고기 탐사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살고 있어요. 이 중에서도 감돌고기는 최근 개체수가 많이 줄어들고 있어서, 보호가 필요한 어류지요.”성무성 어벤져스는 대원들에게 갑천에 사는 민물고기와 탐사를 할 때 주의사항을 설명했어요. 가슴장화에 족대와 채집통까지 챙겨 단단히 탐사를 준비한 대원들은 설명이 끝나자 기다렸다는 ...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줄이고, 이 정보를 정지궤도위성으로 쏘아 올려요. 이후 이 정보를 항공기나 위치 정보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보내면, 좀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지요. 이 전체과정은 2초가 채 걸리지 않는답니다. 현재 우리나라도 2020년부터 사용을 목표로 한국형 위성기반 보강항법시스템인 ‘KASS’를 ... ...
- Part 2. 농게 구애춤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다니엘라 페레즈 박사는 “수컷이 크고 무거운 집게발을 흔드는 것은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 행동”이라며, “암컷은 구애춤의 속도로 수컷이 지닌 에너지를 판단하는 것”이라고 말했어요. [인•터•뷰] “로봇이 구애춤의 비밀을 밝혀 줄 거예요.” 다니엘라 페레즈(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눈으로만 배웠던 하드웨어를 실제로 만드는 것이 어려웠다”며 “위성을 조립하는 데 필요한 치구(거치도구)들이나 위성을 운송하는 컨테이너 등을 만드는 과정에도 시행착오가 많았다”고 회상했다. 그럼에도 한국 연구팀은 2011년 7월부터 천리안 2A호 개발 사업에 착수, 7년 뒤 마침내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한국 문명을 바라보는 세계의 시각에 맞춰 한국 과학 문명의 진면모를 보여줄 필요성이 있다”며 “한국과학문명관을 개관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과학문명관은 선조들의 과학과 현재의 과학이 단절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목적도 있다. 남 학예연구사는 “우리나라의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공기를 따뜻하게 만든다. 목도리뇌조의 다리에 난 깃털은 눈 위에서 이동할 때도 꼭 필요하다. 날이 추울수록 다리의 깃털은 더 크게 자라는데, 이는 목도리뇌조가 눈 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한다. 다리 깃털이 일종의 ‘눈 신발’ 역할을 하는 셈이다. 또 펭귄(펭귄도 조류다)이 눈 위를 이동할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를 구동할 전력이 필요하다”며 “구조색은 빛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전력이 따로 필요 없는 만큼 차세대 광소자로 주목 받고 있다”고 말했다. 구조색은 비단 깃털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무수히 많은 곤충들이 구조색을 갖고 있다. 그 중에서도 모르포 나비의 파란색 날개 구조는 구조색을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잘 발전시킨다면, 비단 척추뿐만 아니라 뇌, 기관지, 후두, 방광, 혈관 등 내시경 수술이 필요한 여러 질환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필자는 우리 의술을 크게 발전시킨 허준처럼, 닥터 허준이 앞으로 의료 강국으로 주목받고 있는 대한민국의 위상을 한층 더 끌어올릴 것이라고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보통 1μg(마이크로그램·1μg은 100만분의 1g)의 유전체가 필요하다. 하지만 세포 하나의 유전체는 이 양의 100만분의 1수준인 1pg(피코그램·1pg는 1조분의 1g)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단일 세포의 유전체를 증폭해야 하는데, 이때 증폭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인해 분석이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