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2월의 밤하늘 광기어린 늑대별과 귀여운 애완견과학동아 l1991년 02호
- 항성 시리우스는 태양에서 가까운 별로도 유명하다(약 9광년). 이러한 이유로 시리우스는 천문학자들의 흥미있는 관측대상이 되어왔다. 그런데 1862년 미국의 망원경제작자 알반 클라크는 18인치 굴절망원경을 제작해 그것을 시험하기 위해 시리우스를 관찰했는데 약 20년전 독일인 베셀이 예언했던 ... ...
- 이달에 만난 아마추어천문가 신혜성 발견 꿈꾸는 조상호씨과학동아 l1991년 02호
- 보유하고 있고 앞으로 두달쯤 후에는 13인치 자작망원경을 완성할 예정."아마추어천문가중에는 저처럼 데이터를 중시하는 학구파도 있지만 '별하나 나하나'를 세며 여유있게 즐기는 정서파도 있습니다. 또한 망원경 제작에 전력투구하는 자작(自作)파도 있습니다. 성격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요. ...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과학동아 l1991년 02호
- 坤與全圖)란 제호가 붙여졌는데 양쪽 끝의 한폭에는 지리적 사항이, 다른 한폭에는 천문학적 사항이 서술돼 있다.페르비스트의 세계지도가 언제 조선에 들어왔는지에 관한 확실한 기록은 없다. 마테오 리치 세계지도의 충격은 이 개정판 세계지도에서는 되풀이되지 않았던 것 같다. 이 지도보다 2년 ...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과학동아 l1991년 02호
- 내는 연성, 은하중심부의 활동영역 등-로부터 이제 검은 구멍은 다른 별이나 은하처럼 천문학의 실재대상으로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우리 태양계가 소속돼 있는 우리 은하(은하수)의 중심부에도 태양보다 1백만배나 무거운 거대한 검은 구멍이 있고 이 검은 구멍이 주변의 별들에 지대한 영향을 ...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아마추어 천문은 취미활동인 동시에 학문이며 생활과학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아직 제대로된 통합단체 하나 없이 '별을 관측 하고자 하는 ... 전모임이 '스타 파티(star party)'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하루 속히 통합 단체로서 '아마추어 천문학회'가 이 땅에 출현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과학동아 l1991년 01호
- 우주의 나이는 얼마나 될까. 빅뱅(Big Bang)이후 현재까지 얼마나 세월이 흘렀을까. 천문학자들은 이에 대해 아직까지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1929년 에드윈 허블이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이후, 거꾸로 시간을 돌리면 우주는 수축을 계속해 빅뱅순간의 한점에 도달한다는 ... ...
- 마야(Maya)문명과학동아 l1991년 01호
- 과정에서 우기 기온 등 기후에 대한 지식도 축적됐다. 자연히 그들은 하늘을 쳐다보고 천문학을 연구하게 되었다.실제로 마야인은 지구가 둥글고, 태양주위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코페르니쿠스나 갈릴레이보다 먼저 발견했다. 위도와 경도, 일식과 월식 현상도 알고 있었다. 또한 계절의 기간, ...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과학동아 l1991년 01호
- 태양을 가장 가까운 데서 보필하는 수성은 대기도 없으며 낮과 밤의 기온차가 수백℃에 이른다. '죽음의 환경'이 지배하는 곳이다.대기가 없어 생물이 살 수 없는 행성, 표면이 온통 크레이터(crater, 구덩이)로 뒤덮여 얼핏 보기에 달과 잘 구별이 되지 않는 행성, 태양에서 거리가 가까워서 낮에는 납 ... ...
- PARTⅠ 대폭발로 시작된 우주 원자보다 작은 「우주 알」과학동아 l1991년 01호
- 하는 일도 피할 수 있게 된다.BB(Bing Bang)냐 CC(Continuous Creation)냐 하는 문제는 한동안 천문학계의 커다란 논쟁거리였다. 결국 논쟁은 BB의 승리로 끝나게 됐는데, 결정적인 증거는 미국의 펜지아스(Penzias)와 윌슨(Wilson)이 1964년에 발견한 '우주 배경 복사'였다. 이것으로 펜지아스와 윌슨은 노벨상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과학동아 l1991년 01호
- 같은 이치다.그러면 성운을 별이 형성될 수 있을만한 크기로 수축시키는 힘은 무엇일까. 천문학자들은 그 해답을 초신성 폭발에서 찾고 있다. 초신성은 질량이 태양의 수십배되는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대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이때 나오는 에너지는 태양의 수억배에 이른다.만약 성운의 ... ...
이전281282283284285286287288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