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목성형 행성 네개중에서 가장 큰 값이다.태양으로부터 해왕성까지의 평균거리는 30.06
천문
단위(AU)인 45억 4백30만㎞다. 궤도주기인 해왕성의 1년은 164.79년이고 궤도가 지구궤도인 황도에 대해서 1.77°기울어져 있다.자전주기는 오랫동안 17시간에서 18시간 사이일 것으로 불확실하게 추측하고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발맞춰 교육간사를 중심으로 한 교육지원팀을 구성했다. 아울러 올여름 한국 아마추어
천문
학 역사상 최대 규모의 별잔치(star party)를 열 예정이다. 자세한 문의는 전화 (02)453-8158로 하기 바람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종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10 진화론은 생물학 뿐만 아니라 물리 화학 지구과학
천문
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수행한 자연의 관찰,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사실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면 창조론은 진화론을 부정하기 위한 근거자료로서가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창조론을 제기,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최근 일본과 필리핀에서 숨쉴 사이 없이 터져 나오는 화산분출. 기후학자들은 화산이 기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내려고 벼르고 있다.1980년대 초의 어떤 저녁 해질 무렵. 수평선을 바라보다 평상시의 붉은 빛 대신 보랏빛 놀을 본 많은 멕시코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에 감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문의 사항이 있거나 아마추어
천문
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싶으신 분은 한국아마추어
천문
학회(Korean Amateur Astronomical Society, 약칭 KASS, 전화 02-453-8158)로 연락하시거나,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후 4시에 서강대학교 RA 204호실로 오시기 바람. 행성상 성운고온의 적색거성이 그 중심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사실을 근거로 우주의 기원을 창조주로 돌리려 하는 것은 과학적인 태도가 아니다. 2
천문
학자이며 무신론자인 영국의 프레드 호일경은 지구상에서 생명이 우연히 생길 수 있는 확률은 10의 4만승분의 1이라고 했다. 그래서 그는 결론적으로 "창조주가 있음에 틀림없다”고 했다. 프레드 호일경의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단지 사람들은 그를 '무릎 꿇은 사람'으로 부른다." 이것은 기원전 3세기경 그리스의
천문
학자이자 시인이었던 아라토스가 이 별자리에 대해 한 말이다.헤르쿨레스자리가 고대 그리스 인들에게 익명으로 남아 있었다는 사실은 이 별자리가 그 이전의 문명, 아마 중동의 바빌로니아 인들에게서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받은 담배상자에 붙어있던 고생물카드에 매료되어 화석수집에 열중했고 다음에는
천문
학에 매달려 자작 망원경으로 천체관측에 빠졌다. 클라크는 국민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지만 상급학교에는 진학하지 않고 공무원 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해 회계감사원이 되어 런던으로 이주한다.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예언됐던 아인슈타인의 이른바 원환의 존재를 밝힌 최초의 증거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천문
학자들은 이렇게 중력의 작용 때문에 생긴 여러 개의 상이나 원환 또는 타원환을 우주의 신기루라고 부르고 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은 그 이론의 증거를 반세기를 넘는 오늘날에도 계속 찾아내고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실제로 관측됐다. 고리가 어두운 이유천왕성에도 고리가 있다는 사실은 1977년 세팀의
천문
학자들에 의해서 우연히 발견됐다. 그들은 천왕성이 흐린 별의 전면을 통과하는 현상을 관측하고 있던 중, 천왕성이 이 별을 완전히 가리기 전에 별이 몇번 순간적으로 어두워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것은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