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사실을 근거로 우주의 기원을 창조주로 돌리려 하는 것은 과학적인 태도가 아니다. 2
천문
학자이며 무신론자인 영국의 프레드 호일경은 지구상에서 생명이 우연히 생길 수 있는 확률은 10의 4만승분의 1이라고 했다. 그래서 그는 결론적으로 "창조주가 있음에 틀림없다”고 했다. 프레드 호일경의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발맞춰 교육간사를 중심으로 한 교육지원팀을 구성했다. 아울러 올여름 한국 아마추어
천문
학 역사상 최대 규모의 별잔치(star party)를 열 예정이다. 자세한 문의는 전화 (02)453-8158로 하기 바람 ... ...
하와이의 대형망원경 맹활약 기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일어나는 동안에는 평상시에 관찰하기 힘든 태양의 코로나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천문
학자들은 태양 외각층에 형성된 코로나(전기적으로 하전된 플라즈마)가 왜 태양 표면보다 더욱 고온인 1백만℃나 되는지를 아직 알지 못한다. 이번 개기일식은 3.6m 대형망원경이 활약할 수 있으므로 코로나를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최근 일본과 필리핀에서 숨쉴 사이 없이 터져 나오는 화산분출. 기후학자들은 화산이 기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내려고 벼르고 있다.1980년대 초의 어떤 저녁 해질 무렵. 수평선을 바라보다 평상시의 붉은 빛 대신 보랏빛 놀을 본 많은 멕시코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에 감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연출한다. 이러한 이유로 7월은 관측자들에게는 가장 바쁜 시기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천문
클럽이 관측여행을 떠나고, 또 별지기들의 대규모 잔치가 해마다 열린다.그러면 이 시기에 가장 인기있고 아름다운 천체는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산광성운(또는 발광성운)이다. 한 여름밤의 ... ...
태양표면 폭발로 지구 자기폭풍발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지구자기장이 수초에서 수분사이에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을 말하는데 1741년 스웨덴의
천문
학자 A. 셀시우스가 오로라현상에 수반해서 지구 자기가 변하는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 태양표면의 폭발로 태양에서 지구로 오는 전자, 양성자 등의 입자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그 압력에 의해 지구자기장이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실제로 관측됐다. 고리가 어두운 이유천왕성에도 고리가 있다는 사실은 1977년 세팀의
천문
학자들에 의해서 우연히 발견됐다. 그들은 천왕성이 흐린 별의 전면을 통과하는 현상을 관측하고 있던 중, 천왕성이 이 별을 완전히 가리기 전에 별이 몇번 순간적으로 어두워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것은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수 있을 뿐더러
천문
정보를 위해서라면 국제전화와 팩시도 무료다. 일반인을 위해 매주
천문
정보 안내전화도 가설해 놓았다(02)455-1772. 때문에 전화요금만 해도 1년에 3백만 원씩 나온다고 한다.지금까지 김씨의 사랑방에서 먹고 자며 망원경을 갈았던 인원은 1백20여명. 이들 중에는 이미 사회의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받은 담배상자에 붙어있던 고생물카드에 매료되어 화석수집에 열중했고 다음에는
천문
학에 매달려 자작 망원경으로 천체관측에 빠졌다. 클라크는 국민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지만 상급학교에는 진학하지 않고 공무원 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해 회계감사원이 되어 런던으로 이주한다.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예언됐던 아인슈타인의 이른바 원환의 존재를 밝힌 최초의 증거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천문
학자들은 이렇게 중력의 작용 때문에 생긴 여러 개의 상이나 원환 또는 타원환을 우주의 신기루라고 부르고 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은 그 이론의 증거를 반세기를 넘는 오늘날에도 계속 찾아내고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