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행위예술' 환상의 개기일식 3분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수 있는 나라가 많지 않다며 자위를 해 보지만 세계화에 동참하기 위해서는 개기 일식
관측
을 위한 많은 노력과 보완이 있어야 함을 절실히 깨달았다.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개기 일식이 진행된 3분은 너무 짧았다. 비디오 영상을 보고 또 보았지만 지겹지 않은 이 천체 현상이 불과 3분만에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2005).9. 인공위성을 이용한 세계적 항공관제시스템이 실용화된다(2005).10. 근적외선(1-3㎛)
관측
용 CCD 카메라가 개발된다(1999).환경·안전남극의 오존층 파괴로 크게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프레온가스의 대체기술 개발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것이다.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고 지구온난화 면에서도 문제가 ... ...
광공해 없는 겨울 은하수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없다. 이 유성우는 밝기가 어두운 편이라서 아주 조건이 좋을 때가 아니면, 의미있는
관측
자료를 얻기 힘들다.12일 금성의 서방최대이각. 금성이 해뜨기 전 동쪽 지평선 가장 높이 떠 있는 때이다. 이 때 금성의 고도는 약 47˚. 13일을 전후로 금성은 지평선에서 점점 높아졌다가 다시 고도가 내려가기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이상에서 보았듯이 준정상우주모형은 대폭발 가설을 채택한 표준우주모형에 비해
관측
적으로 우월한 면이 있고, 개념적으로 더욱 자연스럽다. 그러나 이 모형의 가치는 역시 표준 모형과는 다른 우주관을 우리에게 제시한다는 점이다.혼돈 급팽창 가설한편 지금까지 소개한 호일학파의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분출한다면 어떤 형태가 될 것인가. 무엇보다 백두산 지역의 화산지질 지형변화 지진
관측
등에 대한 종합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보다 정확하게 화산분화 예측 및 예보를 할 수 있다. 그래야 인명손실 및 화산재해 등에 대한 대책수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 ...
초신성 1987A 둘러싼 3개 고리 생성 논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고리의 정체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했다." 이번 3개의 고리
관측
을 주도했던 우주망원경연구소의 크리스토퍼 부로즈의 말이다. 약 3만년 전에 이 별은 팽창하여 적색거성이 됐지만 그때 적도 주위에 두터운 가스구름이 분출됐다. 수천년 전에 적색거성은 수축하여 고온의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천문학자 허블(Hubble)에 의해 발견된 우주팽창 현상이야말로 우주내의 엔트로피 증가의
관측
적 검증인 것이다. 우주는 스스로 그의 궁극적인 종말점으로 진화해간다. 엔트로피가 가장 증가된 상태, 즉 모든 물질의 무질서도 또는 혼돈의 극한상태로 변화해 가는 것이다. 우리들 자신 역시 우주를 ... ...
1. 지상에서 우주로 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하지만 통신위성이 본모습을 나타낸 것은 1957년 '국제 지구
관측
년'에 즈음해 발사된 소련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다. 인류가 처음 만들어낸 이 위성은 지상으로부터 원지점 9백50㎞, 근지점 4백80㎞의 타원 궤도를 타고 지구 둘레를 96분 주기로 공전하기 시작했다. ... ...
전설의 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표지 대신에 고정 구조물에 의한 등대의 설치를 희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어도 해양
관측
기지의 구조물에 등대를 설치하면 한국은 매년 이 주변 해역을 지나는 10만척이 넘는 선박들의 안전 운항과 조업을 지원해 국제 사회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해양은 위험한 곳이어서 어로 작업, 통행 등에는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등 현대 과학의 최첨단을 이루는데 기초가 됐다.그 간의 삼각함수 발전 과정을 보면 천문
관측
을 위해 발견된 삼각법은 15세기 이후의 대항해 시대에는 안전한 항로를 위해, 또 적진까지의 거리 측정 등 직접 측정할 수 없는 두 점사이의 거리를 재는 방법으로 발달해 왔다. 그 후 지도의 작성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