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 닮은 주변의 별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쌍성(거리는 상당히 떨어져 있음). 주성의 질량은 태양의 0.6배이며 반성은 0.5배. 이 별을 관측하면 4.8년 주기로 작은 섭동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원인은 목성 질량의 8배나 되는 행성이 있기 때문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이 사실로 미루어보아 쌍성에도 행성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
- 3천개 은하의 모임 장엄한 처녀자리 은하단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대상이며 같은 시야에 들어오는 M86보다 밝다.(Vir) M85:타원은하. 8.9등급. 10㎝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달걀처럼 보인다(Coma) M86:타원은하. 9.2등급. 달걀모양이며 작은 망원경으로는 밝고 인상적으로 보인다. 북쪽 가까이에 나선은하인 NGC4402가 있으나 10㎝ 망원경으로는 확인되지 않는다.(Vir) M87 ...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약2백개를 탐사할 예정이다. 이곳에서는 남반구 하늘의 별만을 관측하게 되므로 남반구 관측이 끝나는 대로 1996년부터는 적도지방의 아레시보망원경, 1998년부터는 북부지방의 프랑스 낭세이망원경과 그린뱅크망원경을 가동할 계획이다. 아레시보망원경에서는 적도지방의 2백개 별, 낭세이와 ... ...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과학동아 l1995년 05호
- 휘어진다. 이 사실은 일식을 이용해서 실제 별의 위치와 겉보기의 위치에 차이가 있음이 관측된 것이다. 아인슈타인도 리만기하학이 없었더라면 도저히 생각할 수 없었던 구상이다.이집트 나일강변의 토지측량에서 시작된 기하학이 유클리드 기하학이 되고, 유클리드 기하학을 부정한 비유클리드 ... ...
- 1. 생물종, 30년내 4분의 1 사라진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문제는 언급돼 있다. 의제 21에서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평가, 연구 및 체계적인 관측능력이 보강될 것을 지적하고 과학 및 기술적인 방안의 연구개발을 촉구하고 있다.'생물다양성 협약'과 '의제 21'은 생물다양성 보전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각종 연구를 적극 수행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리우회의를 ...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과학동아 l1995년 05호
- 태양에서 1천2백 광년 떨어진 펄사(강한 전파를 내는 맥동성)를 아레시보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1 백만분의 6초마다 한번씩 펄스를 방출하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펄사 주위에 회전하는 물체(행성)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볼츠만 교수는 이 펄사 주위에 3개의 행성이 존재한다고 학계에 보고한 바 ... ...
- 4월15일 부분월식, 대풍년 예고과학동아 l1995년 04호
- 큰곰 엉덩이와 꼬리를 이루는 북두칠성을 살펴보고, 4월15일 보름달의 일부분이 한시간 동안 사라지는 부분월식을 관측해보자. 그리고 20일 전후로 한시간당 10여개 이 ... 6일까지 추적할 수 있었다. 물뱀자리 유성우는 극대활동이 아주 짧게 나타나므로 그만큼 관측하는 묘미도 클 것이다 ... ...
- 1 시간은 비대칭, 미래로만 일방통행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그리고 우리가 광속 보다 빠르게 여행할 수 없다는 데서 기인하고 있다. 우주가 무한하고 관측자가 빛보다 빠르게 여행할 수 있다면 우리는 언제라도 우주저편에 존재하고 있는 다른 딸우주로 여행하여 자신의 과거나 미래의 세계로 넘어갈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시간의 대칭성이 ... ...
- 150억년 우주 역사 한눈에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당시에는 나선은하와 타원은하의 구별이 아주 모호하다. 그러나 이때의 타원은하는 현재 관측되는 '성숙한' 타원은하의 밝기분포와 비슷하다. 이것은 타원은하가 형성되는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 반면, 나선은하는 오랜 세월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사진/A. Dressler, M. Dickinson, D. ... ...
- 남반구 밤하늘 환상여행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점도 많았지만 다음 원정을 위한 작은 시작으로 이해해 주었으면 한다.남반구에서 별을 관측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하늘의 남극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북반구에서는 북극성이 별을 찾는 기준이 되지만 남반구에서는 특별히 남극성이라고 할 만한 별이 없다. 그나마 천구의 남극에 가장 ... ...
이전2772782792802812822832842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