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마치 자석에 철가루가 끌려가듯이 초점 위치에 잡히게 돼 있어 빛의 초점(약 1μm)보다 큰 입자는 정교하게 집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의 초점을 스캐너, 홀로그래피 등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서 입자도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다. 원하는 장소에서 입자를 떨어뜨리려면 레이저를 끄기만 하면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원?배양육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지만 상용화까지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비용이다. 포스트 교수가 연구결과를 발표할 당시 패티 한 장을 만드는데 무려 30만 달러(약 3억3800만 원)가량이 들었다. 근육세포 배양에 필요한 배지가 매우 고가이기 때문이다. 다만 배양 기술이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끝에서 끝까지 폭 108.5m에 길이는 72.8m로, 인류가 지금까지 우주에 건설한 가장 큰 우주 구조물이다. 우주비행사가 최대 6명이 생활할 수 있도록 6개의 침실과 2개의 화장실, 그리고 무중력 상태에서 근력 약화를 막기 위한 체력단련장 등 다양한 시설이 갖춰져 있다. ISS에서는 다양한 과학 실험이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해양 생지역학 피드백 연구는 북극해의 미래 기후를 전망하고 원인을 밝혀내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임형규POSTECH 환경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해 기후변화가 북극해의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hglim@postech.ac ... ...
- 건국대 상허1급 장학생 백하나 - “백지 노트와 오답 노트 덕 봤어요”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파악할 수 있었다. 수능 당일 패턴으로 3주간 생활 2018학년도 수능은 포항 지진이라는 큰 변수가 있었다. 하지만 백 씨는 흔들리지 않았다. 이미 수능 2주 전부터 생활 패턴을 수능과 완벽하게 동기화했기 때문이다. 그는 매일 수능 당일과 똑같은 시간에 모의고사를 풀고, 수능 당일 점심시간에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지방에 사는 학생들도 충분히 참여할 수 있다. 특수한 경우가 아닌 한, 전공이 대학별로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지방의 거점국립대가더 다양한 전공을 개설한 경우가 많으니 참여하기 수월한 일정과 지역에서 참여할 수 있는 대학 행사를 찾아보자. 더불어 각 지역 교육청이나 ... ...
-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답니다.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초신성 SN 2016gkg가 태양보다 20배나 큰 질량을 가진 항성이었던 것으로 추정했어요. 그리고 주로 나선은하에서 관측되는 ‘●Ⅱb형 초신성’이라는 것을 알아냈지요. 연구에 참여한 베르스텐 연구원은 “초신성이 폭발하는 순간을 관측하면 폭발 ...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모습으로 복원된답니다. 이 과정을 거쳐 완성된 참고래 골격표본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참고래 표본이 될 거예요. 현재 부산 기장에 위치한 국립수산과학원 전시 공간에 참고래의 골격 표본이 있지만, 이 표본은 10m 정도에 불과하거든요. 비록 이번 참고래의 표본도 지느러미뼈와 갈비뼈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의 의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행히 주민과 관광객이 모두 대피한 상태고, 폭발이 불과 몇 분밖에 진행되지 않아 큰 피해는 없었어요. [스토리] “휴~, 겨우 살았네.”채윤이 일행은 아저씨의 새를 타고 안전한 곳에 도착해 한숨 돌렸어요. 채윤이는 한손으로 새를 쓰다듬으며 아저씨를 향해 감사인사를 전했어요.“아저씨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수학 역사에 오랫동안 기억될 업적을 세울 수 있었던 데에는 ‘진로 선택 기준’이 큰 몫을 차지했다. 우선 그는 자신이 가장 잘 하는 것을 택했다. 리벳 교수는 “어렸을 때부터 수학을 잘 했기 때문에 대학에 입학할 때 자연스럽게 수학을 전공으로 택했다”고 말했다. 드라마틱한 계기가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