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충북 오창에서 운영 중인 국가영장류센터가 영장류 400마리를 보유하고 있는 것에 비해 큰 규모다. 이곳에서는 영장류를 단체로 사육한다. 총면적이 9739㎡인 영장류자원지원센터 내에 영장류를 단체로 사육할 수 있는 사육동 10개를 갖췄다. 3000마리 영장류를 단체로 사육할 수 있는 곳은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내륙에 자리 잡고 있어 바다의 따뜻한 공기를 얻지 못하는 것도 이유다.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거대한 산 사이의 계곡에 위치하고 있어 북극에서 내려온 차가운 공기가 땅에 계속 머무르기 때문이다. 인간이 상주하지 않는 지역까지 포함하면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은 남극이다. 1983년 7월 남극에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최대공약수를 배울 때 개념을 익힌 뒤 그 개념을 코드로 구현해서 직접 계산하기 어려운 큰 수의 최대공약수를 코딩으로 빠르게 확인하는 식이다. 박왕근 교장은 “학생들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를 코딩을 통해 빠르고 쉽게 해결할 수 있다는 걸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수학과 코딩을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크게 증가해 경제적 이익을 봤지만, 세계 각국은 석유 파동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에 큰 타격을 받았다. 특히 석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의 피해가 심각했는데, 국제 석유 가격이 상승하면서 각종 생산 비용의 증가가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또 다른 문제도 있다. 바로 자원이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북한의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원인 세균을 분리해내고, 이를 연구한다면 의료 연구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거예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반달가슴곰의 팩트체크[팩트체크 1] 남북, 65년만에 평화로운 분위기?![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 ...
- [가상인터뷰] 곰팡이를 재배해 먹는 개미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일이 나뉘어 있어요. 가장 작은 개미는 유충을 돌보거나 곰팡이를 관리하고, 이보다 약간 큰 개미는 보초를 서지요. 중간 크기의 가위개미가 잎을 자르고 집으로 가져오는 일을 한답니다. 일리 : 어떻게 이렇게 번성할 수 있었던 거야?가위개미 : 최근 미국과 브라질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다양한 ... ...
- Part 3. 다른 음이온 제품은 어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밝혔어요. 전자제품이 아닌데 음이온을 뿜는다면 방사성 물질이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큰 거지요. 실제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017년 음이온 제품을 조사한 결과 음이온의 개수와 방사능 농도가 서로 비례했어요. 음이온이 많이 나올수록 방사능 농도도 높은 거지요. 음이온식 공기청정기는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권 교수는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원인을 알아낸 것만으로도 다음 발사체 개발에 큰 도움이 된다”며 “우리새-2호의 발사 성공 의미를 충분히 얻었다”고 밝혔다. 발사팀은 11월 4일 우리새-2호 2차 발사에도 성공했다. 이번에는 데이터 수집도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로켓의 위치, 고도, 속도 등 ... ...
- 혈중알코올농도에 대한 과학적 쟁점 4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떻게 추정할까 음주운전 사건이 발생했을 당시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는 판결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현장에서 곧바로 측정하기는 어려우므로 ‘위드마크(Widmark) 공식’으로 추정한다. 단속 시 측정된 혈중알코올농도를 위드마크 공식에 넣어 그보다 1시간 또는 2시간 전의 알코올농도를 ...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직사각형의 얼룩들을 확인했다. 지저분한 자전거 바퀴자국 같은 얼룩들은 깃대가 있는 큰 깃털들이 붙었던 자리가 탄화된 것이다. 날개깃이 붙어 있는 오늘날의 새 뼈에서도 비슷한 흔적들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성체에 칼깃형 깃털이 있었다고 본다. 마치 새의 날개처럼 말이다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