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d라이브러리
"
쪽
"(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찰칵찰칵.” 카메라는 추억을 담는 그릇이다. 평생 함께할 추억이기에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남기고 싶다. 내 카메라에 적힌 숫자의 의미를 바로 아는 것이 큰 힘이 된 ... 대부분이 초점이 맞지 않은 것이다. 이것을 ‘아웃포커싱 기법’이라고 한다. 반면 오른
쪽
사진은 심도가 깊다 ... ...
동문과 관찰지도교사의 힘 청주교대 과학 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도는 행성처럼 생각했다”고 말하자, 기광이는 “원자핵의 인력 때문에 전자가 핵
쪽
으로 붙지 않겠냐”는 질문을 했다. 교수님은 좋은 지적이라며 러더퍼드의 문제점을 해결한 보어의 원자 모형을 이어서 설명했다.사회 : 수업 외의 대인 관계에서 장난도 많이 치고 재미있는 얘기도 잘해 인기가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걸쳐 나타난다. 봄에 주로 남부지역에서 강하게 발달하다가 여름에 접어들면서 점점 북
쪽
에서 발생하고 세기도 감소한다.슈퍼셀의 지름은 40~50km 정도인데, 토네이도는 지름이 수십~수백m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토네이도의 세기는 후지타 척도(Fujita scale)로 F0~F5 등급으로 분류한다. 최근에는 강화된 ... ...
모든 것이 가능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데려다 놓을 것이다. 물리학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고, 이 모든 것들이 가능하다(315
쪽
).”저자가 보기에 과학자들은 불필요한 일에 너무 많은 힘과 에너지를 낭비한다. 행정 처리할 일은 산더미 같고 연구에 쓰는 시간은 줄어든다. 게다가 지나치게 규모가 크다. 저자 역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토네이도가 곧 나타날 건가요?스톰 박사: 네, 먹구름이 점차 깊어지는데다 앞
쪽
에 휘감겨올라가는 듯한 거대 폭풍구름도 보이네요. 아까 오다가 울룩불룩 하게 생긴 구름(유방운) 보셨죠? 슈퍼셀에서 상승기류가 없는 부분에서 잘 나타납니다. 공기가 구름을 아래로 밀면서 튀어나오게 만드는 거죠. ... ...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수 있다. 창조적일 뿐 아니라 공감의 능력을 갖춘 인생을 살기 위해서는 왼
쪽
뇌와 오른
쪽
뇌의 균형과 조화를 위해 노력할 때가 아닌가 싶다. 숲도 보고 나무도 보는 현명한 사람이 많아진다면 훨씬 살기 좋은 세상이 되지 않겠는가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활동이 활발할 때 많아진단다. 증거 4. 백두산이 부풀어오르고 있다!자, 마지막으로 저
쪽
에 설치돼 있는 경사계를 살펴 보자. 경사계는 땅의 기울기를 재는 도구란다. 음…, 이 경사계로 2002년부터 2005년 사이에 측정한 자료를 보니, 백두산 천지 부근이 7㎝ 정도 부풀어올랐구나. 한국에 오기 전에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숨 막히는 스포츠 속 운동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충분하지만, 60kg 이상이면 높이가 3.5~4cm인 밑창이 적당하다. 발을 구부렸을 때 신발 앞
쪽
의 1/3 부분까지 부드럽게 접히는신발이 발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 ...
에베레스트 산 등정에 나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합한 것이다. 이에 맞게 각 온도계에 수은주를 표시해야 한다.★ 뜨거운 남자의 눈물“그
쪽
은 포기한다. 모두 등정로로 돌아와 다음 탐색 장소로 이동한다.”“먼저 가시오. 나는 조금 더 가보겠소.”“등정로를 알고 있으니 스스로 돌아올 겁니다.”허풍은 스미드의 말을 듣지 않고 걸어간다. 그때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보면 우리는 이미 생각보다 많은 함수에 둘러싸여 살고 있으니까요.한 걸음 더여러분은 12
쪽
화이트보드에 적힌 문제의 답을 고민해 봤나요? 이 문제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는 문제예요.중학교 1학년 때 처음 배우는 함수의 그래프는 정의역에 따라 점 또는 직선으로 그려요.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