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Math] 분수 셈으로 만든 나만의 단소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보통 지름 3cm, 길이 50cm의 대나무에 5개의 구멍을 뚫어 만든다. 구멍 중 하나는 반대쪽에 뚫는데, 이유는 두 손으로 잡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다. 이렇게 단소와 같은 관악기에 뚫은 구멍을 ‘지공’ 이라고 한다. 구멍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히 계산한 다음, ...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실증실험이 꼭 필요합니다.”강 박사는 재미있는 걸 보여주겠다며 규조류를 키우는 연못 쪽으로 안내했다. 갈색의 액체를 가까이에서 보니 녹색 물감을 풀어놓은 듯한 녹조류 연못과는 달리 작은 갈색 덩어리들이 떠 있는 상태다. 배양 조건을 잘 맞추면 단세포인 규조류가 서로 뭉쳐 눈에 보이는 ... ...
- 조개는 바위에 깨 먹어야 제맛!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장면이 세계 최초로 포착됐다. 사진은 스킨스쿠버 전문가인 스콧 가드너가 호주의 북동쪽 해안에 있는 그레이트배리어리프를 탐사하는 도중에 찍은 것이다. 물속에서 ‘딱’하는 소리가 들려 헤엄쳐 갔더니 검은점박이 돔(Choerodon schoenleinii )이 조개를 입에 물고 큰 바위에 대고 후려치고 있었고, ... ...
- 탐사선 ‘던’ 소행성 베스타 궤도에 도착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베스타의 질량이 예상보다 크면 탐사선은 궤도 안쪽으로 끌려들어가며, 작으면 궤도 바깥쪽으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1년 뒤인 2012년 7월 던은 다음 탐사 예정지인 소행성 세레스로 떠난다. 던은 이온엔진을 사용한 탐사선인데, 이 덕택에 궤도에 진입했다 탈출할 수 있다. 이온엔진은 불꽃이나, ...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부분)가 더 강하게 반응했다. 사진은 도시 사람들의 뇌. 왼쪽은 뇌의 가로 단면이고 오른쪽은 세로 단면이다.]도시는 뇌 구조도 바꾼다‘인류의 문명화가 낳은 가장 대표적인 인공물’이라고 할 수 있는 도시 역시 인간의 사고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지구촌 사람들의 절반 이상이 ... ...
- 다빈치 팬클럽 회장 '알 라뷰다 빈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때 제대로 그림이 완성되도록 탱크를 움직여 탈출해 보자. *그림 조각은 왼쪽에서 오론쪽,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배열한다. 정답과 해설1. 시계방향으로 돈다. 2. 1000번1m를 날아갈 때 30번 날갯짓을 하므로, 100m일 때는 3000번 날갯짓을 해야 한다.한 번 페달을 밟으면 세 배로 날갯짓을 하므로, 100 ...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소개한다. 융합과학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과학이슈 11 이충환 외 | 동아사이언스 | 216쪽 | 1만 3000원 논구술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는 바로 최신 과학이슈들이다. 이 책은 과학잡지 편집장과 기자, 과학자들이 선정한 과학계의 최신 이슈를 설명한다. 중간 중간에 화려한 그래픽과 도표가 함께 실려서 ...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어떤 질병에 대한 예방 효과도 통계적으로는 의미가 없다는 쪽으로 결론 나고 있다. 한때 감기 예방을 위해 병원에서 의사가 비타민 복용을 권장하던 시절도 있었지만, 이제는 기껏해야 흡연자와 노인에게 감기 증상을 조금 더 개선해주는 효과 정도만 인정하는 분위기다. ...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초속 25m의 속력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빠르게 진행하는 상층제트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북상하는 하층제트를 상공으로 빨아들인다. 그러면 하층제트를 타고 북상하던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고 건조한 상공으로 올라가 강한 대류를 일으킨다. 한 주무관은 “상하층제트가 만나면 어떤 ... ...
- 플래시메모리, 아름답고 완벽하게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연구를, 소프트웨어를 다뤄본 사람은 하드웨어 연구를 할 것을 제안한다.“과거 어떤 쪽을 미리 연구했는가 보다는 전체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문제를 적극적으로 풀어나가는 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2007년에 개발한 플래시메모리의 핵심 부품도 원래 소프트웨어를 다루던 연구원이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