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모래, 지켜야 할 소중한 자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모래는 사람에게 꼭 필요하지만, 계속해서 지나치게 많은 모래를 채취하면 해양 생태계가 망가지고 말 거야. 소중한 모래를 지킬 방법은 없을까? 모래, 다시 쓰고 바꿔 쓰자!모래는 우리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원이에요. 하지만 동시에 해양 생물의 보금자리이자, 성난 파도를 잠재우는 자 ... ...
- [과학뉴스] 독개구리가 독을 품고도 멀쩡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삼색 독개구리: 사람들은 에피바티딘의 성분을 활용해서 중독성이 없는 진통제를 개발하고 사용해 왔어요. 에피바티딘은 강력한 진통제인 모르핀보다도 200배 강한 진통 효과가 있어요. 그러면서도 또 마약과 같은 모르핀과 달리 중독성이 없지요. 실제로 미국에서는 1998년에 독개구리에서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프시케오시리스-렉스와 하야부사 2의 목표가 지구 근처의 소행성 탐사라면, NASA에서 개발 중인 탐사선 ‘루시’와 ‘프시케’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까지 탐사 영역을 넓히는 게 목적이에요. 2021년에 발사 예정인 루시는 목성의 공전 궤도에 모여 있는 소행성들을 가리키는 ‘목성 ... ...
- Part 2. 핵실험 얼마나 세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표현할 정도로 강력했죠. 이후로도 과학자들은 계속해서 더욱 강력한 핵무기를 개발해 왔어요. 그 결과 증폭 핵분열탄과 수소폭탄이 등장했지요. 원자폭탄이 플루토늄과 우라늄의 핵이 분열하면서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했다면, 증폭 핵분열탄과 수소폭탄은 수소의 핵이 융합하면서 나오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됐고, 이로써 국가는 크게 성장할 수 있었지요. 이와 동시에 강철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무기도 만들 수 있었어요. 우수한 철을 손에 많이 쥐고 있을수록 농작물생산과 전쟁에서 더 유리했기 때문에, 결국 철은 힘의 상징이 됐답니다. “철이 힘과 권력의 상징이 되면서 사람들은 철이 많다는 ...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스페이스 인터스트리스(DSI)’는 2016년 8월에 열린 소형위성 연례학회에서 소행성 채굴 개발 사업을 시작하겠다고 발표했어요. 2019년에 ‘프로스펙터-1’을 쏘아 올려 채굴을 할 소행성까지 보내는 게 첫 번째 목표랍니다. 프로스펙터-1은 소행성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물이 존재하는지 조사하게 ... ...
- [과학뉴스] 지진 나면 공중부양하는 건물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있었지요. 이렇게 수평과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지진을 모두 막을 수 있는 차단 장치가 개발된 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에요. 연구팀은 앞으로 이 장치 위에 500~1000t 무게의 건물을 실제로 얹어 놓고 실험해 볼 예정이에요. 또 지진 방지 대책으로 도시의 한 부분을 아예 지상에서 띄워놓는 일명 ... ...
- Intro. 원자폭탄부터 수소폭탄까지! 북한 핵실험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맡았기 때문이야. 하지만 사실 난 이 별명을 썩 좋아하지 않아. 우리 연구팀이 개발한 원자폭탄 때문에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사람들이 고통 받는 모습을 봤거든. 그런데 요즘도 북한에서는 계속해서 핵실험을 한단 얘기를 들었어. 혹시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알고 있니?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쏘아 보낼 수 있거든요. 한국국방연구원 이상민 연구위원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아직 재진입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어요. # 현재는 미국과 영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5개 국가가 공식 핵보유국이야. 그리고 인도, 이스라엘, 파키스탄,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그러던 중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와 일본 방송사 NHK가 공동으로 무인 관측 장치를 개발 했어요. 이 장치는 엄지손가락 한 마디 정도의 면적에 800kg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심해의 수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요. 이전에 가장 깊은 곳에서 심해어를 촬영한 나라는 중국이었어요. 올해 4월에 81 ...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