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회사도 2016년부터 오징어에서 발견되는 세균을 이용해 도시 전체를 밝히는 조명을
개발
하고 있지요. 발광 생물을 이용한 조명은 아주 단순해요. 빛을 내는 생물과 생물의 먹이, 생물이 호흡할 수 있는 산소만 있으면 되거든요. 글로위의 산드라 레이 대표는 “미생물을 이용한 조명은 은은하고 ... ...
[가상인터뷰] 새로운 사냥법을
개발
한 브라이드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관찰됐어요. 이 고래들은 평균 15초 정도 입을 벌리고 있었지요. 알리: 새로운 사냥법을
개발
한 이유가 뭐야? 브라이드고래: 그 이유는 두 가지예요. 첫 번째는 타이만 주변 환경 때문이에요. 타이만에는 브라이드고래가 먹는 작은 물고기들이 수면에 몰려 있어요. 타이만으로 흘러드는 강에 섞인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있어요. 최영준 천문연구원 우주감시센터 박사는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큐브샛
개발
이 각광을 받고 있는 만큼 앞으로 우주로 나가는 큐브샛의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우주쓰레기의 궤도를 낮춰라!큐브샛은 궤도에 따라 머물 수 있는 시간이 달라요. 궤도가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장애물의 위치를 알려 주는 역할도 하지요.” 조남석 소장은 강연을 마친 뒤, 직접
개발
한 화성 탐사용 드로가 필요 없는 헬리콥터 형태로 만들어졌지요. 21명의 과학자들과 함께 호주에서 진행한 화성 탐사 모의실험에서 이 드론이 쓰였답니다. 강연에 참여한 유예린(대전 노은초 6)학생은 “강연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이 바뀌며 드론이 균형을 잃었거든요. 드론은 맨 처음 군사용으로
개발
됐지만 요즘은 레저와 촬영을 위해 일상 생활에서도 흔히 쓰이고 있어요. 또 드론으로 물건을 배달하기도 하지요. 각종 센서 기술과 드론 기술이 만나면서 초연결사회의 핵심 기술로 꼽힌답니다. 기술 3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캔위성은 미국 모어헤드주립대학교의 로버트 트윅 교수가 지난 1998년 교육용으로
개발
했어요. 상공 수백 미터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오는 짧은 시간 동안 위성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었지요. 캔을 날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예요. 발사체를 대신해 기구를 캔에 달아 띄우거나, 작은 로켓으로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스카이파이어’는 달 주위를 돌며 표면 정보를 수집해요. 그리고 모어헤드 주립대가
개발
한 ‘루나아이스큐브’는 달 표면에서 약 100km 상공을 돌며 얼음을 비롯한 자원을 찾을 예정이에요. 또 ‘바이오센티넬’이란 큐브샛은 효모를 사용해 생물체를 찾고, 미생물이 우주의 방사선에 노출됐을 ... ...
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늘고 있어요. 대표적인 예는 ‘QB50 프로젝트’예요. 21개국의 대학교와 연구소에서
개발
한 큐브샛 50기를 우주로 쏘아올려 지구 저고도의 이온층과 열권의 대기를 관측하는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지요.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LINK’와 서울대학교의 ‘SUNSAT-1’, ‘SUNSAT-1b’가 ... ...
[과학뉴스] 투명한 태양 전지판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어려웠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연구팀이 투명한 태양 전지판을
개발
했어요. 연구팀은 태양 전지판 표면에 특정 파장의 햇빛을 흡수하는 물질을 코팅했어요. 이 물질은 적외선과 자외선 파장만을 모아서 전기로 바꾸지요. 사람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은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몸통만 한 집게다리를 가진 흰발농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생물의 사체 등을 말한다. 그런데 사람들이 갯벌을 메워 간척지로 만들거나 해안가를
개발
하는 일이 늘어나면서 흰발농게의 서식지가 점점 줄고 있어요. 갯게와 기수갈고둥 등 갯벌에 사는 여러 생물들도 보금자리를 잃었지요. 이 생물들이 사라지지 않도록 갯벌을 보호해 주세요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