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간의 관계를 스스로 습득하는 인공신경망인 ‘텍스트투액션(Text2Action) 네트워크’를
개발
했다. 이 인공신경망에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는 문장을 입력하면, 스스로 언어와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배우는 원리다. 연구팀은 유튜브 영상에서 2만9770쌍의 언어와 행동 데이터를 추출해 텍스트투액션 ... ...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
개발
(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
개발
(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사실은 여전히 낯을 좀 뜨겁게 했지만. 그 즈음 뉴스에는 혁신적인 현미경 기술을
개발
해낸 물리학자라든가 몇 주째 꺼지지 않고 있는 천연가스 화재에 대해 분석을 내놓은 지질학자도 출연했는데, 그들은 단지 열정을 현미경이나 가스 흉내로 표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찬사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말부터 응용물리연구소에서 일하면서 미국이
개발
한 세계 최초의 위성항법시스템(NNSS)의
개발
책임자로 일했습니다. 커쉬너 박사는 본인이 찾은 3가지까지 합쳐서 총 8가지가 볼록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의 전부라고 주장하며 이를 정리로 만들었습니다. 그 증명은 다 쓰자면 책 한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씨를 없애는 방법을 연구했어요. 대표적인 예가 1947년 일본의 과학자 기하라 히토시가
개발
한 ‘씨 없는 수박’이지요.씨 없는 수박은 사실 아주 자그마한 씨를 갖고 있어요. 씨앗이 제대로 생기지 못하게 돌연변이를 만들었거든요.우선 ‘콜히친’이라는 약물을 처리한 수박과 정상 수박을 ... ...
[과학뉴스] 버려지는 양파껍질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김 교수는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자연 원료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소자를
개발
했다”며 “웨어러블 기기 등 차세대 기기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nanoen.2017.10.04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전자회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노빔을 만들어 ‘on’ ‘off’를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
했다. 심사위원인 송용설 아모그린텍 부사장은 “학부생들이 나노기술에 관심이 많다는 사실이 놀라웠다”며 “기존 연구를 발전시킨 내용보다는 새로운 아이디어에 점수를 많이 줬다”고 말했다.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종류를 인식해서 로봇손으로 옮겨 실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개발
하고 있다. 그간 자율주행 물류로봇들이 자율주행으로 물건을 이동시키는 기능에만 초점을 맞췄다면 철도연은 스스로 물건을 인식해서 적재하는 기능까지 더했다. 이를 위해 로봇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했다.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외에도 얼굴만으로 성격이나 정치적 성향 등 다양한 특징을 알아낼 수 있다는 AI가
개발
돼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