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정
천정점
꼭대기
계단위의 덮개문
채광창
뉴스
"
천장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경북과학고 우진택 군 “교과서마다 다른 ‘빛의 굴절’ 설명에 의문”
동아사이언스
l
2013.07.24
귤이 썩었다. “사촌동생이 포크로 과일을 찍어 먹으면 과일이 포크 아래로 내려와 입
천장
을 자꾸 다친다는 거예요. 그래서 동생이 다치지 않고 과일을 먹을 수 있는 안전한 포크를 만드는 방법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새롭게 구상 중인 발명 아이디어가 뭐냐는 질문에 최 군은 이같이 말했다. ... ...
세도정치에 빛바랜 순정왕후의 민생 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 이종호박사 제공 인릉의 비각에는 2개의 비석이 있는데 하나는 철종 8년(1857)
천장
후 조영을 할 때 철종이 자신을 일개 농군 강화도령에서 왕으로 발탁해준 순원왕후에 대한 고마움에서 직접 표석의 글을 써서 세운 것이고, 또 하나는 고종이 순조를 순조숙황제로 추존하면서 1900년에 세운 ... ...
레이더로 변신한 마이크
과학동아
l
2013.06.30
제공 희진은 여름 휴가로 방문한 샌프란시스코에서 작은 재즈 공연장에 들렀다.
천장
이 낮은 건물은 낮이라 텅 비어 있었다. “아!”하고 소리를 지르니 메아리가 들렸다. 눈을 감았다. 소리만으로 공연장의 구조를 떠올릴 수 있을까. 이렇게 반사된 음파를 통해 지형이나 대상을 파악하는 능력을 ... ...
수족구병, 물집에 고열… 해열제 안 들으면 의심
동아일보
l
2013.06.24
있다”며 “물집은 입술이나 볼 점막 등 눈에 잘 띄는 곳에 발생하는 때가 많지만 혀나 입
천장
잇몸 등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생기기도 한다”고 말했다. 손등과 발등에도 물집이 잡히는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주로 손가락 사이나 발가락에 나타난다. 처음엔 붉고 평평한 종기가 작게 생기지만 점점 ... ...
무선 자동차에 이어 무선열차가 나온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6.05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 받기 때문에 부품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필요 없게 된다. 또 열차
천장
부분의 전차선이 없어져 복층 구조의 열차 설계를 지금보다 1.3m 정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철도연 홍순만 원장은 "이번 철도 대용량 무선전력전송기술을 통해 철도의 전차선을 없앨 수 있어 ... ...
자연재해도 첨단 과학기술 앞에선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13.05.28
0년 악몽같은 추석을 생각하면 아직도 치가 떨린다. 갑작스러운 폭우로 반지하에 있는 집
천장
까지 물이 차 경제적 손실이 상당했던 것. 이 때문에 여름철 폭우 소식만 들어도 가슴을 쓸어내릴 정도로 트라우마가 됐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날씨가 이리저리 널뛰기 하는 기상 이변이 잦아지자 ... ...
광해군과 정원군의 싸움, 최후의 승자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나이로 세상을 떠나 김포 성산 언덕에 예장했다가, 이후 원종의 능인 현재의 자리로 다시
천장
했다. 정원군은 살아서는 상당히 불우했다. 김두규 박사에 따르면, 정원군은 어려서부터 뛰어난 재능과 비범한 관상으로 부왕인 선조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 그런데 선조가 사망하고 이복형인 ... ...
사도세자 '융릉'의 기준이 된 왕릉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등 이변이 계속되자 영조 때 현 위치인 파주시 갈현리로 옮겨 합장릉으로 다시 조성됐다.
천장
으로 합장하면서 규격이 맞지 않은 병풍석 등은 새로 마련했고 일부 석물은 기존의 것으로 그대로 사용했다. 이 때문에 장릉에는 17세기와 18세기의 석물이 공존하고 있다. 인석의 모란무늬 - 이종호 박사 ... ...
왕비의 묫자리도 정치적 희생양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반응을 보였던 중종이지만 자신에게도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는 말에 결국 장경왕후의
천장
에 동의하여 현재의 자리로 옮긴 것이다. 희릉은 병풍석이 없고 12간의 난간석만 둘렀지만 조선 전기의 능제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 왕릉의 격에 맞게 조성됐으므로 단명한 왕후의 능치고는 석물도 매우 ... ...
1년 2개월 왕으로 살다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일은 부왕의 능(광릉) 조성과 이미 부왕 때부터 추진 중이던 세종의 능을 옮기는 것(영릉
천장
)이 전부였다고 알려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반포는 못했지만 ‘경국대전’도 그의 치세에 완성했다. 삼포(三浦)에서 왜와의 사무역을 금지했고 각 도, 각 읍에 있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