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정
천정점
꼭대기
계단위의 덮개문
채광창
뉴스
"
천장
"(으)로 총 27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팔에 귀’, 왼팔에 귀 이식한 스텔라크 교수
2015.09.14
교수는 2012년 등과 다리 뒤 등 피부에 수십 개의 구멍을 뚫은 뒤 끈을 연결해 스스로를
천장
에 매다는 ‘서스펜션’ 공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그의 공연에 대해 보기 불편하다고 호소하는 관객도 많다. 스텔라크 교수는 이에 대해 “춤처럼 아름다운 공연은 인체 움직임의 한계가 있지만 내 공연은 ... ...
젤라틴이 만드는 쫀득함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08.19
직감했답니다. 한입 떠먹어 보니 끈끈한 푸딩을 씹는 듯이 쫀득쫀득했어요. 치아와 입
천장
에 찰싹 달라붙는 듯한 시원함에 아이스크림을 만드느라 피곤했던 두 팔도 가벼워졌어요. 젤라틴은 물을 잡아두는 성질이 있어요. 그래서 젤라틴을 넣어 아이스크림을 만들면 물을 잡아둔 채 얼기 때문에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열리고 소형차 만한(가로 세로 각 2.4m, 높이 1.3m) 크랩스터가 모습을 드러냈다. 빨간색
천장
에 각종 센서와 조명, 그리고 전력을 공급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검은 케이블 등이 달려 있었다. 몸체는 밀봉돼 있지 않았다. 10m 들어갈 때마다 1기압씩 더해지는 수압을 상쇄하기 위해서다. 단연 돋보이는 ... ...
LED만 환하게 켜 두면 인터넷이 저절로
2015.05.19
기술을 이용하면 빛이 켜진 곳이라면 어디서든 통신을 할 수 있다. 대형마트의 주차장
천장
에 달린 조명을 통해 실시간 주차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폐쇄회로(CC)TV 영상도 손쉽게 받아 볼 수 있게 된다. 대형 경기장내에서 통신이 어려운 경우에도 LED 조명을 이용해 관련 정보를 쉽게 수신할 ... ...
‘킬링필드’ 상처 어루만지는 따뜻한 과학 원조
2015.02.27
싫어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더군요.” 적정기술센터는 화장실 개조 작업부터 시작했다.
천장
가운데를 뚫어 햇빛이 충분히 들어올 수 있도록 했다. 자물쇠를 없앴고, 신발을 벗고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안락한 공간으로 바꿨다. 정화조도 설치했다. 깨끗한 물이 늘 부족한 점도 마음에 걸려 ... ...
‘재능’에 대한 고정관념 여성 과학자 진출 막는다
과학동아
l
2015.02.04
여성보다는 남성 과학기술인의 비율이 높다. 왜 그럴까. 물론 가장 큰 이유는 ‘유리
천장
’이라고 불리는 보이지 않는 사회적 차별이다. 하지만 과학도 분야에 따라 여성 박사의 비중이 천차만별인 데다가, 일부 과학 분야에서는 여성 박사 비율이 인문학을 웃돈다는 사실은 설명하지 못한다. ... ...
게코 도마뱀,
천장
에 붙는걸 보고…
과학동아
l
2014.07.23
개발됐지만 고온고압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했다. 연구진은 게코 도마뱀이 벽이나
천장
등에 붙어 자유롭게 움직인다는 점에 주목했다. 게코 도마뱀 2마리의 발바닥에서 천연 섬모를 떼어내 기존 태양전지에 붙이는 데 성공했다. 섬모는 2개월이면 다시 자라 재채취가 가능했다. 실제로 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벼 해독 10년 만에 ‘진짜’ 밀 게놈 해독
과학동아
l
2014.07.20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거대한 장치가 등장했다. 이 장치는 사실 실험실
천장
을 올려다 본 것이다. 표지의 주인공은 표지 중앙이 아니라 오른쪽 아래에 있는 뾰족한 장치다. 미국 로렌스리브모어국립연구소 길버트 콜린스 박사는 논문에서 이를 “목성 같이 거대한 행성의 내부를 ... ...
멍 때리다 떠오른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4.07.13
대표적인 통찰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데카르트의 업적도 마찬가지다. 그는 침대에 누워
천장
에 붙은 파리를 보다가 X축과 Y축으로 구성된 좌표 시스템을 구상했다고 알려졌다. 이런 현상을 최근에는 신경과학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도 있다. 2001년 미국 워싱턴대의 마커스 라이클 박사가 사람이 ... ...
사람도 모기 잡다 머리 좋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07.02
도망가 버리기 일쑤다. 모기가 달아나는 길목을 예측하고 주로 머무는 벽이나
천장
을 뒤지는 등 나름의 전략이 필요한 이유다. 최근 곤충 사냥이 사람을 비롯한 영장류의 뇌를 발달시킨 원동력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먹이를 먹는 카푸친원숭이의 모습. - 위키피디아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