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정
천정점
꼭대기
계단위의 덮개문
채광창
뉴스
"
천장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나 쥐가 살기 어려운 곳은 사람도 살기 어려운 곳
동아사이언스
l
2013.08.18
잘 알려져 있다. 세종의 묘를 잘못 택했기 때문에 조선 초기에 수많은 환고가 있었지만
천장
을 한 후에는 지덕 때문에 후손에게 큰 불행을 초래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묘택을 잘 쓰면 후손이 행복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해가 미친다는 이같은 사례는 그 후 풍수지리의 중요성을 논할 때마다 자주 ... ...
왕에게 묫자리 빼앗길 것을 예상했던 이인손
동아사이언스
l
2013.08.14
나오지 않지만 이 부분은 명확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왕조에서 가장 유명한
천장
사건인 세종대왕을 ‘단지대왕’으로 지칭했기 때문이다. 여하튼 지관의 글은 계속되는데 이 자리의 주인이 나타나면 ‘이곳에서 연(鳶)을 날려 하늘 높이 떠오르거든 연줄을 끊어라. 그리고 연이 떨어지는 곳에 ... ...
王家의 기를 누를 정도로 강한 세도가의 묫자리
동아사이언스
l
2013.08.13
이유는 광주이씨의 기를 잘라내기 위한 뜻이 있었다는 설명이다. 당시에 여러 지관이
천장
장소로 여러 대상지를 추천하였는데도 굳이 우의정을 지낸 공신의 묘를 선정했다는 것은 광주이씨의 기를 꺾어야 한다는 뜻이 많이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풍수지리는 위선사」, ... ...
세종 死後 피바람이 분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仙人單坐)형이라고 불리는 천하의 대명당인 현재의 영릉이다. 영릉으로 세종대왕이
천장
하게 된 후일담은 그야말로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충희공 이인손 묘 - 이종호 박사 제공 그 자리는 원래 광주이씨 삼세손인 충희공(忠僖公) 이인손(李仁孫)의 묘택이 있던 곳이다. 이인손은 태종 때 문과에 ... ...
3D프린터의 마술···그림같은 집도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9
장난감 부품을 조립하는 것처럼 이어 붙인다. 그리고 철근과 고강도 유리창을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해서 조립한 건물을 지탱한다. 3D 프린터로 뽑아 낸 건축 재료는 모래와 산화마그네슘 등을 이용한 것으로 일반 콘크리트보다 더 단단하다. - 얀야프 라위세나르스 제공 그가 3D 프린터로 ... ...
최고의 왕에게는 무덤자리도 최고로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다시 더 무엇을 바라겠습니까”라며 반대하여 옮기지 못했다. 결국 예종 1년(1469)에
천장
했는데 그곳이 풍수지리 상 한국 최고의 길지 중에 하나라는 현재의 영릉이다. 이때는 세조의 유언으로 병풍석과 석실의 제도를 폐지하고 회격(灰隔)으로 합장했다. 예종의 부왕인 세조가 석실과 병풍석을 쓰지 ... ...
투명얼음, 속이 다 비치는 이유가…
과학동아
l
2013.07.29
발생’ 방법을 쓴다. 노즐 분사는 고드름이 투명한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노즐로
천장
에 매달린 막대에 물을 뿌려서 고드름처럼 얼린다. 냉동실 얼음에 기포가 쉽게 갇히는 이유는 얼음이 바깥부터 얼기 때문인데, 고드름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며 서서히 얼음 안쪽부터 얼기 때문에 기포가 ... ...
아버지는 사랑했지만, 그 아들에게 홀대받은 여인
동아사이언스
l
2013.07.29
정자각을 옮겨 태평관의 누각을 짓고 봉분의 흔적도 없앴다. 일반적으로 왕실 초장지는
천장
(遷葬) 후에도 사가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봉분을 남겨두지만 태종은 이를 무시했다. 다만 문·무석인은 그대로 묻어두라고 명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조선 최초의 문·무석인의 조각물은 이들 지역 주변에 ... ...
도굴을 막은 과학적 조선왕릉
동아사이언스
l
2013.07.28
지하 1.5미터에 묻어야 했음에도 도굴 방지를 위해 다소 변형한 것인데 석실의 벽과
천장
은 두께가 76센티미터나 되는 화강암을 통째로 사용했다. 조선시대 이전의 왕릉이 잡석을 쌓아올리거나 판 모양의 석재를 겹쳐 쌓은 것이 대부분이던 것과 비교하면 훨씬 단단한 구조다. 석재의 끝은 비스듬히 ... ...
블랙아웃 걱정 없는 친환경주택 "찜통더위도 아웃"
동아사이언스
l
2013.07.26
끌어들이는 방식이다. 이와 함께 옥상에 풀이나 식물을 심어 녹화작업을 함으로써
천장
을 통해 열이 전달되는 것을 막아 여름철 실내 온도를 낮춰 주기도 한다. 풀과 흙이 머금고 있던 물이 천천히 증발되면서 지붕의 열을 흡수하는 것이다. 특히 녹화 지붕을 경사로 만들면 평평하게 만들었을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