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뉴스
"
대칭
"(으)로 총 37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항상 희생만 한다? 자기중심적 세계관에 빠진 사람들
2017.07.22
아는 만큼 타인의 나락을 깊게 알 수 없어서 생기는 비
대칭
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비
대칭
의 존재를 알아야 한다. 우리의 판단은 상당히 자기중심적일 수 밖에 없음을 말이다. 쉬워 ‘보이는’ 삶은 있을지라도 정말 쉬운 삶은 없다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나름의 부족함과 불운으로 인한 괴로움을 ... ...
수학자 에미 뇌터를 알리는 호텔이 있다!
수학동아
l
2017.07.04
설치 작품으로 재탄생시켰습니다. 뇌터의 정리는 질량이나 에너지 보존과 같은 문제를
대칭
의 관점으로 해결한 것입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설명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지요. 그래서 20세기 물리학계 최고 업적으로 꼽기도 합니다. 그린버그는 “뇌터는 호텔의 상징이자 수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반물질 소멸의 비
대칭
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오늘날 우주의 비
대칭
성을 제대로 설명하지는 못한다. 아무튼 필자에게 반물질은 허구나 과거의 존재로 여겨졌다. 제1형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생긴 니켈56은 불안정해 코발트56과 철56으로 두 단계에 걸쳐 재빨리 붕괴하며 ... ...
박혁거세가 태어난 알은 완벽한 원형이었을지도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5
뾰족한 알을 낳는 식이다. 연구진의 분석 결과, 한쪽은 둥글지만 다른 한쪽은 뾰족한 비
대칭
성이 가장 높은 알은 도요새의 알이었다. 도요새는 대륙을 건너 이동하는 장거리 비행에 강한 새다. 만약 박혁거세가 정말 알에서 태어났다면, 날지 못 하는 그가 깨고 나온 알은 수박처럼 둥근 알이었을 ... ...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2017.06.20
연구팀은 초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전이종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현생 조류와 같은 비
대칭
적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당시 이 공룡이 날 수 있었는지는 판단할 수 없지만, 공룡에서 조류로 진화하는 과정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 ...
우리 몸을 입체모형으로 배워 보자! ‘사이언스크래프트’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4.26
때문에 균형이 맞지 않는 거예요. 그래서 어떤 도형이든 종이의 접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
을 맞춰 주어야 한답니다. 정한길 기자 제공 내가 만드는 메이커 스쿨 머리에 쏙쏙! 입체모형으로 재밌게 공부하기 기자단 친구들은 사이언스크래프트 체험을 통해 몸 구조를 배웠어요. 뇌와 바이러스, 세포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그것이 만족되고난 후에는 그저 입 안에 음식이 잔뜩 들어있다는 느낌일 뿐 그 고통과
대칭
되는 크기의 기쁨은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에어컨이 틀어져 있다고 해서 룰루랄라 행복한 건 아니지만 꺼지면 큰 짜증이 몰려온다. 숨을 잘 쉬고 있을 때에도 숨이 막히는 고통과 정반대 크기의 ... ...
왼손잡이, 척수가 결정
과학동아
l
2017.04.07
뇌의 비
대칭
에 의해 생긴다는 기존의 생각을 바꿔야 한다”며 “좌뇌와 우뇌의 비
대칭
이 언제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① 사소한 것에 집착하는 나
2017.03.26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예쁘게’ 만들었으며, 오히려 불편하게 ‘
대칭
적’ 모양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손도끼도 이런 목적이라면 잘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럼 손도끼가 한 장소에서 무더기로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다른 사람의 손도끼를 자신의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공간에 규칙적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윌첵 교수가 시간 결정을 제안하기 전까지 ‘
대칭
깨짐’이라 함은 당연히 공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단어였습니다. 그리고 윌첵 교수는 이 반복성이 시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아마도 수학적으로는 더 완벽하게 설명할 수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