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칭"(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옆에서 보면 깜깜이' 특정 각도에서만 보이는 디스플레이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4.25
- 반사를 극대화하고, 그렇지 않은 영역에서는 반사를 최소화해 스펙트럼을 조절했다. 비대칭성을 가진 나노구조체를 사용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편광 성질을 부여했다. 편광각에 따라 표면의 색이 능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디스플레이에 암호화된 QR코드를 ... ...
- [과학게시판]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소형위성 워크숍 外동아사이언스 l2019.04.24
- '비행, 대칭과 비대칭의 조화' 특별전을 열고 비행기 날개의 좌우 대칭과 상하의 비대칭에 관해 전시한다. 4~6일에는 ‘사이언스 버블쇼’ 공연도 펼쳐진다. 특히 5일 어린이날에는 세계적인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의 특별 강연과 사인회가 열린다. 같은 날 열리는 '특별 천체관측회'에서는 낮에는 ... ...
- 모세혈관 속 적혈구, 기차처럼 줄지어 경로 선택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4.24
- 갈래로 갈라지는 네트워크에 액체방울을 일정한 간격으로 흘려보냈다. 두 경로가 완전한 대칭을 이뤄 액체방울들이 각 경로를 택할 확률은 50 대 50으로 동일하다. 연구팀은 일정 시간이 지나자 주기운동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흘려보낸 액체방울들은 처음에는 두 경로로 고르게 흩어졌으나 곧 ... ...
- '과학은 예술로 통한다' 작품으로 다시 태어난 빅뱅머신동아사이언스 l2019.04.17
- 생명체 그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물질과 반물질 사이에는 미세한 비대칭이 있었고, 0.00000001%의 차이로 많은 물질이 우주를 이루게 되었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반물질은 과연 어디로 갔을까' 의문을 던진다. 과학의 아름다움 IBS 제공 2012년 '빅뱅의 증거' 힉스 입자의 ... ...
- [주말N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2019.04.13
- 지나는 평면은 항상 있습니다. 이제 확률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정육면체 꼭짓점은 서로 대칭성이 있으니 처음에 뽑은 1개 점을 고정하면 나머지 2점이 어디 있는지만 알아내면 됩니다. 처음 뽑은 점이 (1, 1, 1)이라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나머지 둘 중 적어도 하나가 (1, 1, 1)이거나 (-1, -1, -1)이면 ... ...
-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동아사이언스 l2019.04.11
- 좀더 강한 빛으로 표현됐고, 반대로 멀어지는 빛은 흐리게 표현돼 고리 모양은 완벽한 대칭을 이루지는 못했다. 블랙홀은 천체가 극도로 압축돼 아주 작은 공간에 큰 질량을 포함한 천체다.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조차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중력이 강해 어두울 것으로 예측돼 ‘블랙홀 ... ...
- 여름 바다의 적 거대 독 해파리의 비밀, 게놈 해독으로 풀었다동아사이언스 l2019.04.10
- 말미잘, 히드라 등 다른 자포동물 네 종과 사람 초파리, 네브라피시 등 신체가 좌우대칭형인 동물 네 종, 후생동물 세 종, 편모충류 한 종의 게놈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다른 자포동물보다 바닷물의 농도차에 견디는 능력인 삼투압 제어 능력이 뛰어났다. 먹이를 먹으려 상하좌우로 움직일 때 ... ...
- 우리은하 중심에서 뿜어져 나오는 'X선 굴뚝'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9.03.21
- 페르미 버블이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페르미 버블은 은하 위아래로 대칭형으로 생긴 거대한 공간으로, 이 안에는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이는 무수한 고에너지 입자로 가득 차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를 이끈 가브리엘 폰티 막스플랑크연구소 박사는 "X선 굴뚝에 대해 ...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2019.03.10
- 만들어질 것이다. 강착원반 역시 열적 복사와 함께 싱크로트론 복사를 내기도 한다. 이 대칭적인 원반 모양의 테가 내는 빛도 초대형 블랙홀 주변에서는 블랙홀의 중력과 테가 가진 상대론적 속도 때문에 왜곡된 그림자를 보일 것이다. 영화 ‘인터스텔라’에 등장한 블랙홀을, 정확히 말하자면 ...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2019.03.06
- 폴더블폰의 나비. 삼성 제공 폴더블폰을 공개할 때 화면에는 나비 이미지가 담겨 있었다. 대칭으로 화려한 색상의 날개를 펴고 접는 모습이 폰과 닮았기 때문일 것이다. 소재는 좋았지만 우리나라에 사는 아름답고 화려한 고유종 나비를 사용하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참고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