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칭"(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의 출생 비밀 밝힐 ‘물질-반물질 비대칭성’ 관측동아사이언스 l2017.02.16
- 교수는 “메손과 바리온의 CP대칭성 깨짐이 표준모형 예측값만큼만 나오면 우주 비대칭성을 설명하기엔 부족하다”라고 말했다.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 이강영, 2015년 증보판 -‘반물질’, 프랭크 클로우스 지음, 강석기 옮김, 201 ...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동아사이언스 l2017.02.12
- 결국 영장류나 원숭이보다 더 오래된 인류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사코르히투스의 대칭인 몸 구조는 인간을 비롯한 많은 후손들이 물려받았다. 하지만 사코르히투스가 물에서 살다가 밖으로 나와 어떻게 인류까지 이어졌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한 교수는 “사코르히투스 ... ...
- [이공계가 또…] 한 번 외출로 운명의 상대를 만날 확률은?2017.02.12
- 이미지 소스:GIB) 제공 1) 17x2-16|x|y+17y2=225 x축을 기준으로 45도 기울어진 타원을 y축에 대칭시켜 그릴 수 있습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2) (x2+y2-1)3-x2y3=0 (1,0), (0,1), (-1,0), (0,-1)을 지나는 하트 그래프로 최고차항이 6차인 6차 방정식 입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3) 삼각함수를 ... ...
- [작심일일 운동기④ FITT]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내 체력은 몇 점?동아사이언스 l2017.01.30
- 발달한 불균형 상태다. 모션 분석을 해 보니 이러한 몸 상태 때문에 걸음걸이의 비대칭도 드러난다. 오른 다리의 힘이 좋기 때문에 오른쪽 발을 디뎠을 때는 보폭이 길고, 왼쪽 다리를 디뎠을 때는 보폭이 짧다. 이 자세로 계속 운동을 하면 발달한 근육을 계속 더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불균형은 더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2016.12.30
- 프린스턴대에 자리를 잡은 크로닌은 피치와 중성 케이온의 붕괴를 연구하다 1964년 CP대칭성 깨짐을 발견했다. 1971년 시카고대로 돌아간 크로닌은 1977년 그곳에 있는 페르미연구소의 충돌빔 책임자가 됐지만 바로 사임했다. 과학행정이 적성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1985년에는 고에너지 우주선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2016.12.21
- 포함해서) 당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1967년 키블은 학술지 ‘물리학 리뷰’에 대칭성 깨짐 메커니즘을 일반화한 단독저자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아이디어는 전자기력과 약력을 통합한 전기약력 이론을 만드는데 도움이 됐다고 한다. 1970년대 키블은 관심을 우주로 돌려 고에너지물리학과 ... ...
- '디자인 승부수' 쉐보레 트랙스, 소형SUV '다크호스' 부상포커스뉴스 l2016.12.19
- 경쾌함을 표현했다. 실내 디자인은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살렸다. 쉐보레 특유의 좌우대칭 듀얼콧핏 디자인을 적용해 안정감을 줬으며, 곳곳을 가죽으로 감싸고 스티치로 마감했다. 블랙 하이그로시, 크롬 등 다양한 소재를 적절히 적용하기도 했다. 디자인은 세련되고 날렵해졌지만 특유의 강력한 ...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왜 우리는 잔디를 사랑할까2016.10.23
- 열리는 올림픽 공원 잔디 광장도 넓은 평지지만 벤치, 가로수, 공연장 등이 있어 완전한 대칭은 아닌 셈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이 이런 환경을 선호하게 된 것은 오랜 수렵 생활 때문이다. 탁 트인 초원은 멀리서도 먹을거리를 발견하기 쉽고, 적이 다가오는 것을 확인하기도 좋다. 여기에 물과 ... ...
-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10.02
- 볼 수 있어요. 또 왼쪽 눈은 왼쪽으로 95°, 오른쪽으로 60°까지 볼 수 있어요. 오른쪽 눈은 대칭을 이루고요. 양쪽 눈으로 동시에 볼 수 있는 각도는 최대 150°예요. 시야각은 동물에 따라 달라요. 동물마다 머리의 생김새, 눈동자의 모양이 달라 시야각도 다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창문 밖에서 몰래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10.01
- 창문 같은 개구부가 있는 위치) 아래로는 흙이 채워져 있다. 또 건축물이 원형으로 360° 대칭을 이루고 있어 어떤 방향에서 진동이 와도 안정적이다. 겉에서 보면 표면이 굉장히 매끈하지만 실제로는 길이가 70cm 정도 되는 석재들을 쌓아 올린 구조라 짜임새가 안정적이다. 내진 설계가 잘 된 것은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