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각
인식
감각
집게손가락
센스
관찰
주시
d라이브러리
"
인지
"(으)로 총 1,33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기법을 이용해 인간의 정신 능력이나 강박, 조현병과 같은 신경정신병 등에 대한
인지
과학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뇌파 측정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kwonjs@snu.ac.kr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삼위일체 이론’도 제기됐다.동물의
인지
행동과정을 연구하는 이인아 서울대 뇌
인지
과학과 교수는 “지능에 대한 여러 이론이 있지만, 이들을 관통하는 공통적인 한 가지 정의가 있다”며 “지능은 특정 개인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원하는 모든 지식과 기술의 집합이라는 점”이라고 ... ...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9월 7일 서울 용산구 청파로 동아사이언스 본사. 정우성 씨(고려대 생물학과 4학년)와 문소원 씨(연세대 행정학과 3학년)의 얼굴에는 살짝 긴장감이 ... 관심이 없거나 못하는 유형의 학습일수록 제어 연습을 꾸준히 진행해 본인에게 맞는 메타
인지
능력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 ...
[놀이보고서] 놀 시간이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참는 등 충동을 조절했기 때문이에요. 이처럼 목적을 위해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는
인지
과정을 ‘실행 기능’이라 해요. 쥐들이 놀면서 실행 기능을 사용하자, 실행 기능을 담당하는 내측전전두피질도 발달한 거지요. 펠리스 교수는 “인간도 자유놀이를 하면 실행 기능이 발달할 것”이라고 ... ...
기회는 지금이야 당장 달려볼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사실을 ‘네이처 메디신’ 1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91-018-0275-4 둘째로 운동의
인지
능력 개선 효과는 나이가 어릴수록 극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과학동아 독자들과 이 부분도 확인해보고 싶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태어난 지 석 달 된 쥐에게 쳇바퀴에서 ... ...
[과학뉴스] 피부 속 통증 느끼는 새 감각기관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느끼는 능력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언포스 교수는 “감각뉴런만 통증을
인지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기관도 물리적 자극을 인식하는 데 관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만성 통증의 원인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26/science.aax645 ... ...
통증은 고통스럽기만 한 걸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교수는 “CIPA 환자는 통증이 없기 때문에 상처가 나거나 부상을 당해도 다친 사실을
인지
하지 못해 몸을 정상적으로 보호하지 못한다”며 “피부나 각막 손상, 근골격계 문제가 주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NTRK1 유전자는 땀샘에 연결된 신경에도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CIPA 환자는 땀을 흘리지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자기 이름을
인지
할 수 있어야 하고, ‘물’ ‘가져다줘’ 같은 소리가 어떤 뜻
인지
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냉장고 안에 있는 물을 찾아서 들고 옮기는 일까지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명령에 대한 실행이 완료됩니다. 이 모든 과정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인간이 쉽게 할 수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감칠맛 등 미각은 혀 위에 있는 미뢰의 미각수용체를 통해 나타나지만, 매운맛은 통각을
인지
하는 감각수용체가 인식한다. 매운맛은 맛이라기보다는 혀가 아프다고 보내는 신호인 셈이다.그런데 인간의 뇌는 통증을 느끼면 이를 가라앉히기 위해 엔돌핀이라는 호르몬을 내보낸다. 이 호르몬이 ... ...
[과학뉴스] 만성스트레스가 뇌신경질환 유발? 핵심 유전자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뇌질환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한 발 더 다가섰다. 유성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
인지
과학전공 교수팀은 만성스트레스로 인한 해마 신경줄기세포의 사멸이 자가포식(auto phagy) 때문이라는 사실을 규명하고 국제학술지 ‘오토파지’ 6월 24일자에 발표했다. 자가포식이란 불필요하거나 기능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