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각
인식
감각
집게손가락
센스
관찰
주시
d라이브러리
"
인지
"(으)로 총 1,33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유인원도 인간처럼 좌우 뇌 비대칭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인간의 언어 기능이나 몸의 우반신 운동은 좌뇌가 담당하는 것처럼 각 반구는 서로 다른
인지
기능에 특화돼 있다. 해부학적으로는 보통 좌뇌 후두엽과 우뇌 전두엽이 각각 우뇌 후두엽과 좌뇌 전두엽보다 상대적으로 크다고 알려졌다. 이런 뇌의 비대칭성은 인간과 유인원을 구분하는 요소 중 ... ...
영구동토, 수십년 째 '핫'해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누비며 살아가는 사향소예요. 우선 저는 우리가 오늘 기리는 영구동토가 어떤 곳
인지
, 영구동토를 비롯한 차디찬 얼음들이 왜 우리 곁에서 사라지고 있는지에 대해 먼저 짚으려고 해요. 영구동토, 80년대 이후 계속 따뜻해졌다!영구동토는 2년 이상 온도가 0°C 이하인 땅을 뜻해요. 기온이 영상으로 ... ...
잘 찾쥐! 놀 줄 알 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선택하고 침묵하며 기다리는 전략도 사용했어요(위 사진). 연구팀은 이 연구가 놀이와
인지
능력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았답니다. 인간보다 빠르게 지뢰찾쥐!찾기에 능한 쥐는 지뢰를 찾는 데서도 활약 중이에요. 벨기에 국제민간단체 아포포는 2000년대 초반부터 ... ...
카피추의 ‘아기상어라지만’은 표절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것을 말한다. 남주한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해당 유튜버는 원곡을 미리
인지
하고 의도적으로 패러디하는 방식으로 노래를 만든 것 같다”는 의견을 밝혔다. ▲ 인기곡을 패러디해 최근 화제가 된 카피추. 사진은 2019년 12월 21일 JTBC '아는형님'에 출연해 본인의 자작곡을 선보이는 장면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지속된다. 와파린의 경우 약물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이 비교적 정확해 부작용을 쉽게
인지
할 수 있는 편이지만, 자칫 그렇지 못한 경우는 위험할 수 있다. 유전자 변이의 빈도에 근거한 예측이기 때문에 한국, 일본 중국인 중 실제로 많은 사람이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단정 지을 수는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적어놓은 초콜릿 제품은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이번 실험으로 플라보노이드가 뇌
인지
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초콜릿은 피부에도 좋습니다. 정진호 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팀은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매스가 피부 탄력을 높인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사람과 함께 일하는 ‘협동로봇’도 주목 받고 있어요. 이전까지 로봇은 사람을
인지
할 수 없었으므로 충돌을 피하기 위해 격리된 공간에서 일했어요. 반면 협동로봇은 사람을 센서로 감지해 피하는 능력을 갖췄어요. 대구의 패스트푸드점 ‘디떽’에는 치킨을 튀기는 협동로봇이 있답니다.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단어가 생소한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2월호를 보기 전까지 군론이 어떤 수학 분야
인지
미리 찾아보면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습니다. 덧붙여 제게 궁금한 점이 있다면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질문해 주세요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MDGA군은 아직 핵심 기능조차도 명확히 파악되지 않았다. 2018년 고 교수는 엄지원 DGIST 뇌·
인지
과학전공 교수팀과 공동으로 PTPσ가 세포 내부와 외부에 있는 다양한 단백질과 상호작용해 시냅스 신호전달을 매개할 뿐만 아니라 시냅스 생성에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꼬마도롱뇽은 2016년까진 제주도롱뇽으로 분류됐기 때문에 시민들이 다른 종으로
인지
하지 못했을 거예요. 나머지 세 종은 시민과학자들끼리 서로 잘못된 정보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 덕분에 DNA 분석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답니다. 시민과학자들이 수집한 자료가 연구에 도움이 된다는 걸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