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d라이브러리
"
세균
"(으)로 총 91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08
“미라를 감싼 부장품과 수의, 미라의 몸을 일일이 조사했다”며 “일부
세균
이 발견됐지만 발굴 과정에서 유입됐을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한겸 교수는 “이번 결과는 한국 미라가 무균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다는 유력한 증거로 보인다”고 말했다 ... ...
모든 범인은‘
세균
’을 남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8
손의
세균
종류는 서로 달랐지요. 사람의 지문은 시간이 흐르면 흐려지기 마련이지만,
세균
은 2주일 넘게 남아 있어, 지문보다 더 효과적으로 범인을 알아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답니다 ... ...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
과학동아
l
201007
식물 등 다세포 생물은 진핵생물이며 많은 세포로 이뤄져 있다. 또 다세포 생물의 세포는
세균
의 크기에 비해 수백 내지 수천 배의 크기다. 1) [난이도 하] 다세포 생물이 진핵세포로 이뤄진 점에 대해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2) [난이도 중]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세포 내 구조물 차이로 인한 전사와 ... ...
2010 노벨상 석학 대중강연
과학동아
l
201006
박사는 “현재 사용 중인 항생제의 40%는
세균
리보솜의 활동을 방해한다”며 “항생제가
세균
리보솜에 침입해서 단백질이 생성돼 나오는 출구를 막아버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요나트 박사는 리보솜 연구를 바탕으로 슈퍼박테리아(기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
)를 막아내는 연구를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우리가 변했어요. 식물의 세포벽에서 셀룰로오스를, 새우와 게 등껍질에서 키틴을,
세균
에서는 플라스틱의 재료인 폴리유산 등 천연 고분자를 얻었거든요. 이 천연 고분자로 만든 플라스틱은 ‘바이오플라스틱’으로 거듭나 이제 햇빛을 받거나 땅 속에 묻으면 썩는답니다. 그렇다고 본래 의무를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6
억제하는 백신을 만들려는 움직임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는 1990년대 후반
세균
과 바이러스를 감지해서 염증을 유발하는 ‘톨유사수용체(toll-like receptor)’가 발견되면서 급물살을 탄다. 이 수용체는 세포 표면에 붙어 있다가 몸에 침입한 적을 인식하면 세포에게 염증 효소를 만들라는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05
무기로 인식되고 있었던 탓이었다.일부 잡지들에서는 레이저가 라디오 송신, 야간 탐색,
세균
박멸 같은 일에 사용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메이먼 자신은 레이저가 통신뿐 아니라 절단과 용접 같은 산업 부문에서 이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 누구도 레이저의 용도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05
슈퍼박테리아를 무찌를 비책을 찾고 있다. 슈퍼박테리아는 기존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세균
이다.“슈퍼박테리아의 리보솜은 결정을 만들 수 없어요. 병원균에 대한 결정을 키우는 것이 허용돼 있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슈퍼박테리아로부터 리보솜 결정을 얻기보다 이를 연구할 수 있는 모델을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05
장 속에 정상적으로 있어야 하는
세균
까지 사라져
세균
간의 균형이 깨지면서 병원성
세균
이 증식할 위험이 있다”며 “체중이 감소하는 이유는 탈수 현상 때문”이라고 말했다.흡연이 체중을 감소시킨다는 생각도 마찬가지다. 흡연자의 평균 체중이 비흡연자에 비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흡연이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05
미생물연료전지를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김 박사팀은 당시 금속염환원
세균
의 모델 미생물이던 쉬와넬라균(Shewanella)을 이용해 무매개체형 미생물연료전지를 구성했다. 연료(미생물의 먹이)로는 젖산을 공급했는데, 젖산 소모량과 전기생산량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