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매미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진귀한 광경을 볼 수 있었어요. 우화하기
위
해 땅
위
로 올라온 매미약충들이 사람 다리
위
로 기어오르기 시작한 거예요! 사람 다리를 나무로 착각한 거지요. 그만큼 서울숲에는 다양한 종류의 매미가 정말 많았어요. 약충들이 땅을 뚫고 올라온 구멍도 이곳저곳 뚫려있었답니다.매미 현장교육이 ...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독사를 피하기
위
한 방법은 더 있어요. 살모사를 포함한 독사들은 주로 사람의 발목 부
위
를 물어요. 그래서 숲에 갈 때는 긴 바지를 입고 긴 등산양말과 발목을 덮는 등산화를 신는 게 좋지요. 또 풀숲으로 들어가기 전에 지팡이로 땅을 치며 주변을 한 바퀴 돌면 독사가 진동을 느끼고 도망가기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가리기가 힘들었답니다.캠프에 참가한 곽수진 학생(라이노비틀즈팀)은 “도토리거
위
벌레도 보고 다친 매미도 살려 줬다”며, “새로운 친구와 언니, 오빠들도 사귀고 추억도 많이 만들어서 내년에도 꼭 참가하고 싶다”고 말했어요.김선주 씨(에코마우스 팀 보호자)는 “아들이 자연을 사랑해서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를 공중에 띄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풍선을 천으로 열심히 문지른 뒤, 역시 천으로 문지른 둥글고 가느다란 비닐을 풍선
위
에 얹어 보자. 풍선을 향하는 방향에 맞춰 비닐 끈이 둥실둥실 떠오를 것이다. 비닐이 공중부양하는 힘은 어디에서 나왔을까?물체를 다른 물체로 문지르면 한쪽 물체 표면의 전자가 떨어져 나와 다른 쪽 물체로 ... ...
Part 5. 상괭이 떼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왼손을 뻗어 앞쪽을 가리켰죠. 팀장님이 가리킨 곳엔 상괭이 두 마리의 검은 등이 수면
위
로 살짝 보였답니다. 충남 태안 신진항에서 배를 타고 나간 지 약 1시간만에 발견한 첫 상괭이였지요.“7월 14일 오전 9시 33분, 340도 방향, 2마리! 수온 18℃, 염분농도는….”상괭이를 발견한 곳에서 배가 멈추자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염소 원자가 구리 원자들 사이를 이동하지요.이때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면 염소 원자의
위
치를 원하는 대로 옮길 수 있어요. 미리 약속된 규칙대로 염소 원자를 배열시킨 뒤 이를 해독하면 정보를 저장하거나 불러오는 것이 가능해지는 거예요.오뜨 박사는 “저온이나 고진공 상태에서만 이 장치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중력장 지도를 보면 중력이 센 곳은 붉게, 약한 곳은 푸르게 나타나 있지요. 이렇게 다른
위
성이나 행성의 중력장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 내부의 구조를 탐사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최근 목성에 도착한 탐사선 주노의 임무 중 하나도 목성을 돌며 중력을 측정하고 중력장 지도를 만드는 거예요. 이를 ... ...
Part 3.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다른 어류보다 상괭이와 같은 고래류에게 더
위
험해요. 그물에 갇혀 있는 동안에는 수면
위
로 올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폐호흡을 하는 고래들은 숨을 쉴 수 없기 때문이지요 ... ...
Part 1. 단서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발견됐답니다.새만금사업단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서는 죽은 원인을 분석하기
위
해 폐사한 상괭이들의 사체를 부검해 보았어요. 그 결과 죽은 상괭이들은 모두 지방층이 두껍고 근육량이 충분해 비교적 건강한 상태였지요. 뱃속에는 먹이마저 가득 차 있었답니다. 특별한 질병이나 기생충 ... ...
[과학뉴스] 길이를 내맘대로! 초소형 자석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구슬 모양의 자석들이 일자로 연결돼 있는 형태랍니다. 이 로봇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위
아래로 진동하며 마치 벌레처럼 앞으로 나아가지요.연구팀은 로봇을 이루는 자석 구슬의 개수를 변화시키며 움직임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구슬의 개수를 늘려 로봇의 길이가 늘어나자 이동속도가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