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수 있게 됐어요. 하지만 우주쓰레기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우주개발은 지금보다 훨씬
위
험한 일이 될 거예요. 친구들도 우주쓰레기 처리방법을 함께 고민해 보는 건 어떨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쓰레기 청소 대작전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Part 2. 작고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고(高)’와 ‘아이 자(子)’는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자예요. ‘높을 고(高)’는 성
위
에 높이 세워진 망루와 드나드는 문의 모양을, ‘아이 자(子)’는 포대기에 싸여서 두 팔을 벌리고 있는 갓난아기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답니다.‘나눌 분(分)’은 ‘나눌 팔(八)’과 ‘칼 도(刀)’가 합쳐진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그러면서도 인간과 비슷한 코를 갖고 있지요. 이런 특징 때문에 그동안 저의 진화학적
위
치에 대한 과학자들의 의견이 서로 달랐어요.그런데 얼마 전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우리 안경원숭이의 ‘트랜스포존’ 유전자를 분석했어요. 그결과 안경원숭이가 원원류보다 인간에 더 가깝다는 사실이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위
그림 ➊의 A와 B의 색깔을 주의 깊게 보세요. A보다 B가 밝게 보이지 않나요? 하지만 그림 ➋를 보면 실제로 A와 B의 색깔은 완전히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답니다.이런 것을 흔히 시각이 착각을 했다고 해서 ‘착시’라고 해요. 하지만 B가 밝게 보이는 것은 시각이 잘못됐기 때문은 아니랍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두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모양을 본떠 만들었지요. 그러다가 ‘사람 인(人)’과 구별하기
위
해 ‘훌륭한 사람, 큰 사람’이라는 의미가 더해져 ‘크다’라는 뜻이 됐답니다.‘뭍 륙(陸)’은 ‘언덕 부(阝)’ 뒤에 ‘언덕 륙(坴)’이 붙어있어요. ‘언덕 륙(坴)’은 ‘흙 토(土)’ 사이에 ‘어진 사람 인 ... ...
[과학뉴스] 독개구리 뱃속은 개미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연구소가 된 셈이지요.연구에 참여한 로체스터대의 크리스챤 라벨링 연구원은 “개구리
위
내용물 분석은 배를 직접 가르지 않고 토사물로 분석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다”며 “앞으로 희귀종 개미를 연구하는 데 많이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맨틀
위
에 얹혀 있는 거예요.홈즈는 흐르는 맨틀이 열에 의해 천천히 움직이면 이를 따라
위
에 떠 있는 판도 함께 움직인다고 주장했지요. 후에 다른 과학자들이 깊은 바다에서 맨틀 물질이 올라오는 현상을 발견하며 이 주장은 거의 정설로 받아들여졌답니다. 목포자연사박물관에 모인 친구들은 ... ...
Part 4. 도시를 바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하기 시작했어요.다양한 의견이 모아진 결과, 정부의 자동차
위
주의 정책을 자전거 중심으로 완전히 바꾸게 됐답니다. 1980년대부터 네덜란드의 모든 도로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든 거예요. 또 도심에 자동차보다 자전거를 우선하는 교통법규를 만들고, 자전거 전용 신호등을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피해서 가잖아요. 그래서 저는 여러가지 물건을 쌓아놓고 서식굴 입구가 아닌 것처럼
위
장해 둔답니다. 그리고 굴속에 숨어 있다가 먹이가 지나간다 싶으면 샤샤샥 밖으로 튀어나와서 잽싸게 먹이를 낚아채지요. 후훗! [털보집갯지렁이 서식굴에서 함께 발견된 옆길게.] 참! 제가 갯벌 건축왕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갈 착(辶)’ 뒤에 ‘길 용(甬)’이 붙어 만들어졌어요. ‘길 용(甬)’은 속이 빈 나무통
위
에 손잡이를 붙인 모양으로, ‘속이 비어 있는 긴 대롱’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답니다. 따라서 ‘통할 통(通)’은 속이 빈 곳을 쉽게 빠져나가는 모습을 나타내지요.‘길 로(路)’는 ‘발 족(足)’과 ‘각각 각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