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지구 중력을 뚫고 우주로 가기
위
해선 초속 11km의 빠른 속도가 필요해요. 이 속도를 내기
위
해 로켓에 실리는 연료의 무게만 전체 로켓 무게의 90%가 넘는답니다 ... ...
Part 2. 꿀꺽~! 삼키는 마이크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로봇이 있어요. 바로 캡슐내시경이랍니다. 원래
위
나 대장 속에 병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
해서는 관 끝에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 기계로 진찰해야 해요. 그런데 내시경 관을 몸속에 넣는 것이 무척 괴롭기 때문에 수면마취를 하는 경우가 많아요. 또 소장의 경우에는 관을 소장까지 넣을 방법이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우와! 너희가 만든 석기는 어떤 모양이야? 우리는 대부분 약 1m 높이의 좁은 바
위
꼭대기에 앉아, 석영이나 규암과 같이 단단한 돌로 다른 돌을 내리쳐 석기를 만들었어요.영국 옥스퍼드대, 런던대, 브라질 상파울루대 국제공동연구팀은 2014년 9월과 2015년 6월에 브라질 세라다카피바라 국립공원의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맺지 못하지요. 2015~2016년 겨울에는 유독 이런 친구들이 많이 생겨났어요. 꽃을 피우기
위
해 오랫동안 준비해온 걸 생각하면 참으로 안타까운 마음이 든답니다.국립수목원에는 겨울에도 많은 손님이 찾아와요. 이 가운데는 잎들이 떨어져 조금 황량해 보이는 나무 사이로 움직이며 활기를 불어 넣어 ... ...
Part 3. 혈관 속을 누비는 로봇 의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움직이는 실험에 성공했어요. 하지만 이 마이크로 로봇을 실제로 치료에 사용하기
위
해서는 더 정밀하게 로봇을 움직이는 기술과 안전성에 대한 실험이 더 필요하다고 해요.더 빠르게 움직여라!최근에는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은 마이크로 로봇도 개발되었어요. 아래 사진 속 로봇은 크기가 220 ... ...
[출동! 섭섭박사] 화산모형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실험에 참여한 친구들은 석고가루가 골고루 묻어 있는 붕대를 물에 적셔 종이로 된 틀
위
에 발랐답니다. 그러자 곧 석고가 딱딱하게 굳으며 멋진 화산모형이 만들어졌죠.석고와 물이 닿으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석고의 주성분은 황산칼슘(CaSO4)으로, 깁스붕대나 분필을 만드는 데 많이 사용되는 ... ...
[과학뉴스] 캥거루 닮은 개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로빈 워니 교수는 “가스트로테카 익스큐비터는 올챙이에게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
해 알을 다시 주머니에 넣어 기르는 전략을 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은행털이범 ‘ 자루에 몽탕’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우수수 떨어져 냄새를 피우고 있었다. 난감해 하는 썰렁홈즈에게 저 멀리 은행나무
위
에 올라앉은 자루에 몽탕의 목소리가 들려왔다.“용케 날 잘 따라왔군. 마지막으로 이 미로도 통과해 보시지!” 썰렁홈즈가 미로까지 통과하자 자루에 몽탕은 어깨에 메고 있던 커다란 자루를 던지며 말했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지구의 불과는 매우 다르기 때문에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의 화재에 대비하기
위
해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어요. 지난 6월에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분리된 무인화물우주선 ‘시그너스’에 실험용 모듈을 싣고, 여기에 일부러 화재를 내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촬영하기도 했지요 ... ...
Part 2.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붙어 있는 생물인 ‘오파비니아’, 몸이 납작한 판과 가시로 덮인 ‘
위
왁시아’,
위
아래 앞 뒤 구분이 가지 않아 환각을 불러일으키는 생물 ‘할루키게니아’ 등이 대표적이지요. 심지어 인류를 포함한 척추동물의 조상이라 할 수 있는 척삭동물 ‘피카이아’도 이 시기에 등장했답니다.1989년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