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불이 매년 찾아오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펠리샤 치앙 박사 연구팀은 20세기 후반에서 21세기 초
미국
전역의 기온과 강수량 데이터를 비교했어요. 가뭄 지역은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한 곳보다 4배 더 빨리 기온이 높아졌지요. 메마른 지역은 수분이 별로 없기 때문에 온도가 더 급격하게 상승한 거예요. 물은 ... ...
[에디터노트] 한일 경제전쟁과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나타났다. 과학기술 전 분야로 확대하면 한국은
미국
과 3.8년의 기술격차가 있고, 일본은
미국
과 1.9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긴 시간과 대규모 과학자를 동원하는 기술수준평가는 향후 정부가 연구개발(R&D) 전략을 수립하고 예산 투자 방향을 설정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 ...
[과학뉴스] 구글 딥마인드, 의사보다 빨리 신장질환 진단하는 AI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진단할 수 있는 AI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이 AI는
미국
보훈병원 130곳에서 치료를 받은 18~90세 환자 70만여 명의 63억5000만여 개 증상을 담은 데이터를 학습했다. 연구팀은 이 AI를 이용해 급성 신장 손상 환자를 확진 48시간 전에 55.8%까지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 ...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IT업체에서 의뢰한 반도체를 제조한다. 그리고 소재·부품·장비업체는 대부분 해외, 특히
미국
과 일본 기업들이 과점하고 있다.국내에도 몇몇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들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재료를 공급하고 있지만, 비중이 적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에서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낸 뒤 서강대 화학과 교수로 부임해 34년간 재직하며 국내 과학커뮤니케이션 분야를 개척했다.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비롯한 다수의 과학 교양서를 번역했고, ‘이덕환의 과학세상’ ... ...
너의 발에 날개를 달아줄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텐트를 만들며 디자인 일을 시작했죠. 신발 디자이너로 활동한 것은 2009년부터입니다.
미국
보스턴에 있는 신발 디자인 컨설팅 회사 ‘ADC’와 ‘써코니’(스포츠 브랜드)를 거쳐 브룩스에 오게 됐습니다. 브룩스가 러닝에 특화된 브랜드라는 점에 끌렸습니다. I was an Industrial Design major. I started as a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지진 전조현상 식별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문제는 지진이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지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최근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연구팀은 수학 모형을 사용해 지진의 전조현상을 파악할 수 있는 특정한 소리를 식별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지진을 일으키는 기계를 이용해 지진파를 일으키고 수치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라니냐 ·멜라토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것을 보고 아기 예수가 찾아왔다는 뜻으로 ‘엘니뇨’라고 불렀지요. 이후 1985년
미국
해양학자 조지 필랜더가 엘니뇨의 반대 현상을 ‘라니냐’라고 이름을 붙였답니다. ‘멜라토닌’은 ‘어두운’ 혹은 ‘검정색의’라는 뜻을 지닌 그리스어 ‘멜라스(Melas)’와 ‘세로토닌’이 합쳐진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산쇼올은 캡사이신처럼 TRPV1과 결합하기도 하지만 다른 수용체에도 달라붙을 수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샌프란시스코) 연구팀은 산쇼올이 TRPV1과 ‘TrkC’라는 두 종류의 감각수용체에 결합해 특유의 매운맛을 느끼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 2008년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우주 관련 스타트업 로프트 오비탈(Loft Orbital)에서 전략기획 및 국제협력 담당으로,
미국
워싱턴대 공대에서 자문위원 및 겸직교수로 일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유일한 우주인으로서 열정과 사명감을 갖고 우주산업 시대에 맞춰 과학 대중화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mcax17@gmail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