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증명하는 것이었다. 에디슨의 온갖 방해에도 불구하고 웨스팅하우스는 1891년 6월 19일 미국 콜로라도주 산미겔강에서 텔룰라이드 금광까지 약 4.2km에 걸쳐 교류 방식으로 전기를 보내는 데 성공했다. 이어서 170km 송전에도 성공했다.또 웨스팅하우스와 테슬라는 1893년 세계 만국박람회에서 백열등 9만 ... ...
- [중국유학일기] 8시 등교, 6시 하교, 6일 수업 실습 프로그램 ‘866’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수 있는 프로그램도 있다. 지원할 수 있는 국가도 다양하다. 우한대는 한국을 포함해 미국, 영국, 독일, 스웨덴,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의 대학들과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그램별로 기간, 비용, 요구 조건 등은 모두 다르다. 교환학생 프로그램은 보통 한 학기 동안 운영된다. 등록금은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에어컨도 덜 틀고, 화석 연료도 적게 사용해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죠.이 아이디어는 미국 물리학자 아서 로젠펠트가 냈어요. 1973년, 로젠펠트가 주유소에 갔는데 줄이 엄청 길었어요. 기다리면서 보니 모든 차가 시동을 켜고 있더래요. 로젠펠트는 에너지를 아껴야겠다는 생각에 이중창, 쿨루프 ... ...
- [과학뉴스]입자 로봇 10만 대, 뭉쳐야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로봇도 다른 로봇들의 움직임에 밀려 목적지까지 잘 찾아갈 수 있거든요. 연구에 참여한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다니엘라 러스 교수는 “입자 로봇은 혼자보단 모였을 때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며 “앞으로 입자 로봇의 크기를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줄일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선조의 기록에서 찾은 별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근처 별2017년 8월에도 우리 선조의 기록이 힘을 발휘한 연구가 나옵니다. 2016년 6월 미국 자연사박물관, 영국 리버풀존무어대, 폴란드과학아카데미 국제연구팀이 칠레에서 전갈자리 근처에 있는 가스 구름을 관측합니다. 이 가스 구름은 빛나는 별이었으나, 시간이 흘러 반응을 다해 가스 구름 형태로 ... ...
-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페이스북 메신저처럼 사진이나 영상을 메시지와 함께 주고받는 메신저 앱으로, 2011년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학생이었던 에반 스피겔, 바비 머피, 레지 브라운이 만들었어요.이 셋은 ‘속마음을 터놓고 대화할 수 있는 메신저’를 만들기 위해 특별한 기능을 추가했는데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1~1 ... ...
- [과학뉴스]대서양에 나타난 8850km 해조류 벨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준다. 하지만 개체수가 너무 많아지면 연안 해양생물의 서식에 방해가 된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운용하는 인공위성에 달린 고분해능 기상 센서 ‘모디스(MODIS)’가 기록한 19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13년을 제외하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모자반 벨트가 형성됐으며, ... ...
- '과학덕후'에게 추천하는 세계 워터파크 4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미국 ┃깔때기 곡면을 따라 ‘으아아~’ 그레이트 울프 롯지의 ‘하울링 토네이도’ 미국 콜로라도주에 있는 워터파크 체인 ‘그레이트 울프 롯지’의 명물은 건물 6층 높이의 거대한 깔때기 모양 슬라이드 ‘하울링 토네이도’다. 4인승 튜브에 타고 깔때기 모양의 곡면을 따라 낙하하다보면 ... ...
- [인포그래픽] 세계의 유인잠수정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전 세계 바다의 98%를 탐사할 수 있다. 8월 현재 6000m급 이상 유인 잠수정을 보유한 나라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프랑스 등 5개국뿐이다. 1000m 미만급 유인 잠수정은 독일의 ‘야고(Jago)’, 그리스의 ‘테티스(Thetis)’, 포르투갈의 ‘룰라(Lula)’ 시리즈 등이 있다. 한국도 1986년 서해 앞바다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승인 받은 ‘타깃 말라리아(Target Malaria)’다. 타깃 말라리아는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미국 프레드허친슨 암연구센터, 아프리카 보건과학연구소(IRSS) 등 전 세계 전문가들이 모인 GM 모기 컨소시엄이다.컨소시엄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이들이 GM 모기 연구에 힘을 합친 건 오로지 말라리아 퇴치를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