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10주년 특별인터뷰] 오성진 UC버클리 수학과 교수, 수학실력은 지수함수처럼!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올해 31세의 나이로 노벨상 수상자를 107명, 필즈상 수상자를 14명 배출한 세계적인 명문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UC버클리) 수학과 교수로 임용됐다. ‘수학 영재’로서 탄탄대로만 걸었을 것 같은 오 교수가 ‘수학은 타고난 재능보다 오래 붙들고 있어야 잘 한다’고 말하는 이유는 뭘까? Q ... ...
- [수학미술관] 브릭캠퍼스~ 브릭아트의 비밀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0호
- 결합해 움직이는 레고 ‘마인드스톰’을 출시했습니다. 그런데 케코아 프라우드풋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대학원생이 이를 해킹하는 바람에 프로그램 코드가 온라인에 퍼지게 됩니다. 이를 본 사람들은 프로그램을 변형해 소형 복사기부터 동전 분류기, 광 센서를 비롯해 자동판매기와 같은 제품까지 ... ...
- [GO! GO! 고고학자]유물의 나이를 알아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연대를 알아내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이에요. 1949년 미국 시카고대학교의 화학과 교수였던 윌라드 리비가 개발했지요. 이 업적으로 그는 1960년 노벨화학상을 받았어요.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원리는 무엇일까요?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에는 질량이 살짝 다른 두 종류의 ...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사람에게 수여하는 평화상은 어느 부위를 긁었을 때 가장 쾌감이 좋은지를 분석한 미국 등 국제공동연구팀에게 돌아갔다. 연구팀은 가려움 증상을 정량화해 발목과 등이 가장 가려우며 긁었을 때 쾌감도 크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심리학상은 웃으면 실제로 행복해진다는 사실을 밝혀낸 독일 ... ...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쓰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발차기의 힘, 특히 병을 밀치는 힘을 줄여야 한다. 가령 미국 영화배우 라이언 레이놀즈의 병뚜껑 챌린지 영상을 보면 병을 제대로 고정하지 않은 채 힘껏 걷어차 병뚜껑이 열리는 대신 병이 통째로 날아간다.병이 고정되지 않았을 때 병을 쓰러뜨리지 않으면서도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울산 전파망원경이 가장 먼저 들어섰는데, 당시 1주일간 함께 망원경을 테스트하던 미국 엔지니어들이 나를 보며 제발 잠 좀 자고 오라고 했다”며 “당시 KVN의 소프트웨어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이 나밖에 없었기 때문에 테스트 기간에는 잘 시간도 없었다”고 말했다.KVN을 구축할 때 기술적으로 ... ...
-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두 가지 능력이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지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1990년 토머스 넬슨 미국 메릴랜드대 심리학과 교수는 15년간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해 ‘메타기억: 이론적인 배경과 새로운 발견들’이라는 논문을 국제학술지 ‘학습및동기심리학’에 발표했다. 여기서 그는 메타인지를 위한 ... ...
- SF, 현실이 되다 애드 아스트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갈 수 있다.실제로 달은 화성 등 다른 행성에 가기 위한 전초 기지로 개발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5월 13일 유인 달 탐사계획인 ‘아르테미스(Artemis)’를 발표했다. 아르테미스 계획에는 민간기업들과 함께 2024년까지 달 궤도 정거장인 ‘게이트웨이(Gateway)’를 건설하고, 달 착륙과 심우주 ... ...
- 나로호 프로젝트 본격 시동 협력 파트너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축을 담당했으며, 특히 추진기관(액체엔진) 부분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어 미국이나 프랑스에서도 러시아 엔진을 구입해 활용하는 실정이었다.본격적인 기술협력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정부 간 합의가 필요했다. 우주발사체가 갖는 특수성 때문이다. 2001년 5월 30일, 유희열 당시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있었습니다. 당시 입자물리학 연구자들은 가속기에 주목했습니다. 1978년 7월 리처드 뮬러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팀이 사이클로트론(원형가속기·Cyclotron)을 기반으로 탄소의 방사성동위원소의 양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한 페이지 분량의 글을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