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04
망원경을 가지고 천동설을 뒤엎을 수 있는 많은 관측증거를 찾아내기도 했다.쌍안경의
표면
을 보면 7×50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배율이 7배, 구경이 50㎜라는 뜻이다.이 정도의 쌍안경이면 관측조건이 좋을 때 10등성까지 자그만치 30만개 이상의 별을 볼 수 있게 된다. 천체관측용 쌍안경은 구경이 ... ...
2020 초고속항공기
과학동아
l
199304
고내열성 고강도 특수항공기재료를 개발해야 한다.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표면
내부로 냉각하는 기술이 필요한데 현재는 극초음속항공기의 연료로 가장 유망한 액체수소를 이용하는 방법이 채택될 전망이다. 이 경우 항공기 외피구조재료는 바깥의 화씨 1천6백도 고온과 내면의 영하 ... ...
25년만에 모습 드러낸 인왕산의 지형·지질
과학동아
l
199304
수직으로 발달됐다. 치마폭의 주름살 형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유수구란 암석
표면
으로 흐르는 물이 수분에 약한 장석을 주변보다 빨리 용해시켜 홈통처럼 움푹 판 부분을 말한다.치마바위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판상의 사절리로 인한 매끈한 40°경사의 암벽과 치마폭 주름살 모양의 유수구의 ... ...
태양사진 어떻게 찍나
과학동아
l
199304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필터가 바로 용접용 필터이다. 그러나 이 용접용 필터는
표면
이 광학적으로 완벽한 평면이 아니므로 망원경의 대물렌즈 앞에서 빛을 차단하게 되면 태양상이 제대로 맺히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초점면 근처에서 빛을 차단시켜야 한다. 그래서 보통 접안렌즈 앞에다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04
둔 어떤 물건도 자신이 가진 티끌들, 운석과의 충돌, 혹은 이미 그곳에 있었던 먼지들이
표면
을 깎음으로서 파편을 만들어낸다.세번째로 주요한 성층권 먼지의 출처는 우리 대기 밖의 모든 우주공간이다. 이 '우주먼지'는 어느 정도 일정량으로 유지되는데, 그것은 외부로부터 성층권으로 들어오는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04
크기가 2.1분×2.20분밖에 안되고 밝기는 10.3등급이다. 이것은 타원은하이기 때문에 높은
표면
밝기를 갖지만 상세한 모습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자자리에 있는 다른 나선은하들에 비해 덜 인상적이다. 이것은 M95와 M96로부터 1백30kpc의 거리에 놓여 있다. 광시야의 아이피스를 사용하면 한 시야내에서 ... ...
유리잔에 담긴 환상의 산호섬
과학동아
l
199304
결정의 꽃은 피지 않아요. 바로 비밀은 중성세제에 있다구요. 중성세제는 용액의
표면
장력을 적당히 조절하는 역할을 하거든요.나무의 모양을 달리 한다든지 나무의 뾰족한 곳에 여러가지 색의 수성 사인펜을 미리 칠해 놓으면 색색의 아름다운 꽃나무를 얻을 수 있겠죠 ... ...
① 빛은 우주의 비밀 캐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03
모든 종류의 빛들을 제각기 다른 세기로 발산한다. 만일 이러한 빛들이 그대로 지구
표면
에 내리쪼이게 된다면 우리는 모두 죽고 말 것이다. 하지만 우리 지구의 대기는 인간에게 무해한 가시광선과 전파만을 주로 투과시킴으로써 생명의 낙원을 조성해 주고 있다. 이는 물론 인간이 지구의 환경에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
과학동아
l
199303
받는 저항 중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물과 접촉하는 선체
표면
적이 작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선체를 가능한 한 물 위로 부양시켜야 한다. 초고속선의 기술적 특성파도가 있는 바다 위에서 고속 운항시 선체는 파도에 의해 심하게 동요되기 때문에 승선감과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03
곧 마음의 본질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뜻이다. 언어는 마음의 거울촘스키는
표면
적인 현상을 기술하는 것보다 심층적인 원리를 찾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이전의 언어학자들과는 달리 촘스키는 겉으로 드러난 언어현상에 관심을 보이기 보다 그러한 현상을 가능케 해주는 드러나지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