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과학동아 l2017년 11호
- R&D 예산은 고작 1.3% 늘었고, 고정적으로 편성되던 R&D예산은 최근 10년간 1%가까이 줄었다. 한국은 2014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R&D에 4.29%를 투입했다. 비율만 놓고 보면 일본을 넘어선다. 희망적인 신호다. 노벨상은 최소 20~30년 전의 연구 성과에 주어진다는 점에서 ‘기다림의 미학’에 가깝다. ... ...
- [과학뉴스] 아토피 피부염이 스트레스 늘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피부염이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수면장애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건혁 한국한의학연구원 선임연구원(현 엑토스인터스트리 대표)과 대구한의대 공동연구팀은 아토피 피부염과 스트레스 호르몬, 멜라토닌 호르몬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 결과를 호르몬 분야 국제저널인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제안했다”며 “평소 한국의 풍부한 문화와 오랜 역사에 관심이 많아 문헌을 뒤져 한국에 있는 농업의 신을 직접 찾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눌굽(낟가리를 쌓기 위한 터)의 신인 ‘눌굽지신’도 제안했지만, 영문 자료가 적고 발음이 어려워 일차 탈락했다”고 덧붙였다. 2007년 발사된 돈은 201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최근 북한 핵실험에 따른 백두산의 지질 구조 변화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진이 마그마를 흔들 수 있는지는 마그마방의 형태와 크기, 마그마의 점성 등과 관련돼 있는데, 백두산 마그마방과 마그마의 물성에 대해서는 제대로 밝혀진 게 없다”며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른 레이저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내외 기술 격차가 적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한국도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야 한다. 영화를 초월한 기술이 국가 안보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그날을 기대해 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무기Part 1. 배트맨의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펼쳐 아래로 향하게 한 뒤 컵의 윗부분을 감싸 쥐고 걸으라고 제시했다. 한 씨는 “한국에서는 나이가 어리면 연구를 못할 거란 편견이 있다는 걸 느끼곤 했는데, 꼭 그렇지 않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또래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과학 연구에 관심을 더 가졌으면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889년 과학자들은 1kg 금속을 질량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들은 이 ‘킬로그램 원기(原器)’는 금고에 보관하고, 동일한 질량을 가진 복제 ... 계속될 것이다. 이광철KAIST에서 물리학 학사, 포스텍에서 기계공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키블 저울을 개발하고 있다. kclee@kriss.re ... ...
- [과학뉴스] 발암물질 석면, 안전하게 폐기 가능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진이 석면을 안전하게 폐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조환주·장영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원팀은 석면의 형태를 변형시켜 유해성을 없애는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광물’ 8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석면은 단열재 등 건축자재로 쓰였지만 국제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1급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때문이다. 미국은 전 세계 1000여 개 관측소에서 측정한 지진파로 지진 규모를 계산하지만 한국은 국내에 설치된 수십 개의 관측소에서 측정한 자료를 사용한다. 잦은 지진으로 데이터를 많이 축적한 일본도 50여 년간 사용한 보정값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1990년대 말에 발견하고 2000년대 초반에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설치한 구경 43cm 광학망원경)을 이용한 광학 관측 결과를 보고했다. 다른 관측소와 달리 한국 연구팀은 남반구 전역에 수평으로 걸쳐진 네트워크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하나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는 KMTNet의 조밀한 관측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