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d라이브러리
"
한국
"(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전달되는 것처럼, 이 파동이 태양 내부의 열을 코로나에 전달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한국
천문연구원 태양우주 환경그룹 김연한 연구원은 “전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를 진동시켜서 음식을 데우는 것처럼, 태양에서도 파동이 코로나 입자를 가열시킨다는 이론”이라며, ... ...
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광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안녕? 나는 광산에서 금을 캐는 20년 경력의 베테랑 두더지 광부야. 아마 광산에서 금속을 캐는 데는 나를 따라올 사람이 없을 걸! 그런데 광부라면서 왜 산속이 아니라 도시에 있냐고? 그 이유를 지금부터 알려 줄 테니 따라와 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 ... ...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정밀하게 해체해 효율을 높여라!보통 전자제품에서 금속을 추출할 때는 부품별로 분해하는 과정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요. 이때, 부품별로 정밀하게 분류할수록 최종적으로 얻는 순수한 금속의 양이 늘어나지요.하지만 이 과정을 사람이 직접 하면 부품별로 완벽하게 분해하지 못해요. 전자제품마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국가예방접종 피해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경피용은
한국
의약품안전관리원(karp.drugsafe.or.kr)으로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신청하면 된다. 단, 경피용 BCG 백신 무료 접종 실시기간 동안에는 경피용도 국가예방접종 피해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Neuromorphic) 칩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우수상인
한국
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은
한국
산업기술대 학부생들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전류로 ‘on’ ‘off’를 조절하는 기존 전자회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노빔을 만들어 ‘on’ ‘off’를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심사위원인 송용설 아모그린텍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센서가 작동해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설계했다.
한국
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에서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개발 중인 이상덕 선임연구원은 “자율주행 기술은 물류 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아마존이 거대한 물류창고에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모름. 여성. 32.1세. 행복과 약간의 공포(fear).” 10월 말, 대전
한국
전자통신연구원(ETRI)인지로보틱스연구부의 한 실험실. 얼굴 인식 인공지능(AI) ‘딥미러(deep mirror)’가 처음 만난 기자의 얼굴을 분석한 결과다. 얼굴 정보만으로 용케 여성임을 알아봤다. 활짝 웃으면서도 내심 긴장했던 기자의 심리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왔더군. 한눈에 봐도 카메라 로거가 더 커지고 묵직해졌어. 그런데 지난번에 왔던
한국
과학자는 오지 않고 새로운 사람이 지난번 일본 과학자와 함께 나타났네? 이원영 박사라고 하더라고. 듣자하니 이전 사람은 다른 연구 때문에 남극대륙의 장보고기지에 있는 우리 동료들의 서식지를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적어도 나는 지옥을 빠져나왔다. 인기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여전히 나는
한국
에서 가장 유명한 곤충학자였다. 다만 약간의 자기합리화 방법을 배웠을 뿐. 생각해보니 곤충학자가 대중의 모든 질문에 꼭 대답해줄 필요는 없는 것 같았다. 오히려 과학자도 자기 전공 말고는 잘 모른다는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띄지 않는다. 왕개미뿐만이 아니다. 추운 겨울,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최근 ‘
한국
개미(자연과생태)’라는 책을 펴낸 동민수 씨(강원대 응용생물학과 2학년)와 개미를 찾아 나섰다. 그는 중학생 때부터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곤충 종 동정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개미를 알리고자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