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탓에 한국인의 얼굴을 그리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1999년 국내에서도 이를 보완한 한국인 몽타주 시스템이 개발됐다. 하지만 3차원(3D) 영상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도 몽타주 기술은 목격자의 기억에 의존해 2차원으로 구현하는 기법에 머물러 있었다. 전체 인상부터 선택, 이후 눈코입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왔더군. 한눈에 봐도 카메라 로거가 더 커지고 묵직해졌어. 그런데 지난번에 왔던 한국 과학자는 오지 않고 새로운 사람이 지난번 일본 과학자와 함께 나타났네? 이원영 박사라고 하더라고. 듣자하니 이전 사람은 다른 연구 때문에 남극대륙의 장보고기지에 있는 우리 동료들의 서식지를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준은 테뉴어(종신직) 연구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엄밀히 말하면 NIH에는 ‘한국식 테뉴어’라는 개념이 없다. 송민경 국립암연구소 암치료평가프로그램 책임자는 “한번 테뉴어를 받았다고 해서 계속 연구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원칙적으로 해고하지는 못하지만, 연구의 질적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적어도 나는 지옥을 빠져나왔다. 인기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여전히 나는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곤충학자였다. 다만 약간의 자기합리화 방법을 배웠을 뿐. 생각해보니 곤충학자가 대중의 모든 질문에 꼭 대답해줄 필요는 없는 것 같았다. 오히려 과학자도 자기 전공 말고는 잘 모른다는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 특징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연예인은 김태희, 전지현, 설현, 혜리 등 한국에서 활동하는 배우나 가수 등 여성연예인 39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결과 얼굴이 작고, 턱은 U자나 V자 형이며, 커다란 눈과 좁은 코, 긴 입술, 깨끗한 피부 등의 특징이 호감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박사는 ...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과학동아 l2017년 11호
- R&D 예산은 고작 1.3% 늘었고, 고정적으로 편성되던 R&D예산은 최근 10년간 1%가까이 줄었다. 한국은 2014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R&D에 4.29%를 투입했다. 비율만 놓고 보면 일본을 넘어선다. 희망적인 신호다. 노벨상은 최소 20~30년 전의 연구 성과에 주어진다는 점에서 ‘기다림의 미학’에 가깝다. ... ...
- [과학뉴스] 아토피 피부염이 스트레스 늘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피부염이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수면장애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건혁 한국한의학연구원 선임연구원(현 엑토스인터스트리 대표)과 대구한의대 공동연구팀은 아토피 피부염과 스트레스 호르몬, 멜라토닌 호르몬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 결과를 호르몬 분야 국제저널인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제안했다”며 “평소 한국의 풍부한 문화와 오랜 역사에 관심이 많아 문헌을 뒤져 한국에 있는 농업의 신을 직접 찾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눌굽(낟가리를 쌓기 위한 터)의 신인 ‘눌굽지신’도 제안했지만, 영문 자료가 적고 발음이 어려워 일차 탈락했다”고 덧붙였다. 2007년 발사된 돈은 201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최근 북한 핵실험에 따른 백두산의 지질 구조 변화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진이 마그마를 흔들 수 있는지는 마그마방의 형태와 크기, 마그마의 점성 등과 관련돼 있는데, 백두산 마그마방과 마그마의 물성에 대해서는 제대로 밝혀진 게 없다”며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실험 참가자를 모집하고, 데이터 분석을 위해 통계학도 공부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한국인지및심리학회’ 학술대회에서 포스터 발표로 선정돼 공개됐다. 국내 뇌과학 동아리 구심점으로뉴런에서 최근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다른 학교와의 연계 활동이다. 대학마다 뇌과학 동아리가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