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람의 유전자로 연구에 성공한 사람은 없었어요. 그런데 2017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집단유전학 연구팀이 적어도 어느 정도는 기후에 따라 코 모양이 진화했음을 밝혔어요. 코 모양 중에서도 특히 콧구멍의 기하학 구조가 기후와 연관이 있다고 말이에요. 연구팀은 조상이 같은 서아프리카인, ... ...
- [과학뉴스] 뱀의 비늘을 가진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몸이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도와 주는 거죠.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교 카티아 베르톨디 교수팀은 이 사실을 이용해서 뱀처럼 비늘을 가진 로봇을 만들었답니다. 연구팀은 먼저 정밀한 레이저를 이용해서 플라스틱 재질의 필름에 뱀 비늘을 닮은 규칙적인 무늬를 새겼어요.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공룡이 파충류와 비슷하게 생겼을 거라고 추측했거든요. 그런데 1970년대 미국 예일대학교 존 오스트롬 교수는 작은 육식공룡의 꼬리뼈 화석에 남아 있던 단단한 힘줄의 흔적을 통해 공룡의 꼬리는 뻣뻣해서 아래로 축 늘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그 결과, 몸을 세운 채 꼬리를 바닥에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짜잔~. 이게 너희가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때 봤던 수호랑이야. 나 혼자라면 수호랑을 만들지 못 했겠지만 친구들과 함께라면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지. 자, 이번엔 하트를 만들어 볼까? 모여야 빛이 나는 군집드론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현장. 캄캄해진 밤하늘에 불빛이 반짝이기 시작했 ... ...
- Intro. 뿡뿡! 가짜 방귀왕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안녕? 난 방귀계의 라이징 스타, 폭탄먼지벌레야.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이번 ‘가짜 방귀 뀌기 대회’의 유력한 우승 후보지! 뭐? 나 말고 또 누가 참가하냐고? 자, 날 따라와. 가짜 방귀 뀌기 대회 현장으로 안내할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뿡뿡! 가짜 방귀왕을 찾아라!Part 1. 가짜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방귀, 폭탄먼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액체를 뿜어내는 것 뿐이란다. 방귀로 두꺼비를 탈출한다?!지난 2월 7일, 일본 고베대학교 연구팀은 폭탄먼지벌레의 특별한 탈출법을 학계에 알렸어요. 포식자의 공격을 피할 때 사용하는 뜨거운 방귀로 포식자의 위에서 살아 돌아오기까지 한다는 내용이었지요. 연구팀은 두꺼비와 ... ...
- [Culture] 세상의 모든 사이비과학에 경고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필명 계란계란으로 활동하는 안치성 씨는 공주사범대에서 과학교육을 전공했다. 대학교 3학년이던 2009년, 우연한 기회에 다음 웹툰 ‘삼백이론’을 통해 데뷔하면서 과학교사가 아닌 만화가의 길을 걷고 있다. 지금까지 ‘삼백이론’ ‘오늘은 자체 휴강’ ‘헌티드 스쿨’ ‘헌티드스쿨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를 증명할 수 있지 않을까요?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 ...
- Intro. 세상을 놀라게 한 아마추어 수학자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아마추어 수학자의 파티에 참석해 주신 여러분, 모두 감사합니다! 오늘은 수학사를 빛낸 아마추어 수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인 좋은 날입니다. 아, 거기 당신도 미래의 아마추어 수학자가 되실 분인가요? 어서 들어오세요. 이 파티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으니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발견을 알렸죠. 그런 짤막한 내용이 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거예요. 박부성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는 “17세기 최고의 수학자를 하나만 말하라면 페르마를 꼽겠다”며, “페르마의 수학 능력은 아주 뛰어났다”고 말했어요. 다만 “논문 쓰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주로 편지에서만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