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업적을 소개하는 강연이 서울 블루스퀘어에서 펼쳐집니다. 김민형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의 사회로, 필즈상의 의미부터 올해 수상자들의 이야기까지 2018 필즈상의 모든 것을 밝혀줄 예정입니다. 특집 기사를 재밌게 읽은 독자라면 이번 강연을 놓치지 마세요!강연 일시 : 2018년 9월 6~ ... ...
- [현장 취재] 로봇과 친해지는 특별한 경험! 연극 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어린이 관객들은 로봇에게 친근함을 느꼈어요. 이번 연극에서 배우로 활동한 서울예술대학교 이주연 학생은 “처음에는 소극적이었던 어린이 관객들이 에디를 도와주면서 부터는 애완동물처럼 껴안기도 했다”며 놀라워했답니다. 또한 엄윤설 교수님은 “연극을 녹화한 영상을 통해 어린이들이 ... ...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푸는 일은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풀어야 한다는 게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을 지나는 것 같았어요. 김미란 교수: 대학교 1학년까지는 괜찮았는데, 그 이후에 해석학, 대수학, 기하학을 배우면서 힘들었어요. 그 전에는 단편적인 개념을 통해 문제를 푸는 게 전부였기 때문에 이론과 개념을 이해하고 서로 연결하고 확장하는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생화학을 전공해 우주에 관한 연구를 할 기회가 없었지요. 그러던 중 2002년 리에주대학교에서 외계생명체에 관한 연구를 시작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답니다. 마침 그 해에 외계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아냈다는 연구가 처음 발표됐지요. 이때 조만간 외계행성의 비밀을 밝혀낼 수 있겠다는 확신에 ... ...
-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멀리서 보면 얼핏 땅바닥에 꽂힌 가느다란 막대기처럼 보이는 초고층건물.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솟아있는 건물이 어떻게 똑바로 서 있는 걸까? 안전하기는 한 걸까? 혹시 대기권을 넘어 우주까지 높이 지을 수는 없는 걸까? 초고층건물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고,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재료를 뜻한다. 이 문제는 고강도 콘크리트 같은 신재료로 해결할 수 있다. 정란 단국대학교 초고층빌딩 글로벌 R&BD 센터장은 “신재료의 개발로 200층까지도 기둥이나 벽을 과거보다 훨씬 작게 설계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신재료의 개발로 가능해진 대표적인 설계가 ‘메가기둥 구조’다.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초고층건물은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이볼로 2018 미래 초고층건물 아이디어 공모전에 선정된 작품도 당장은 힘들더라도 충분히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 정 센터장은 “SF에 나오는 여러 디자인이 결국 실현되는 것처럼, 이 공모전은 미래 건축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대~한민국’을 목 터지게 외치셨나요? 월드컵의 열기가 한껏 무르익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매 월드컵마다 화제의 중심에 있는 ‘공인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는 최첨단 기술로 무장한 ‘텔스타 18’이 선수들과 함께 그라운드를 누빕니다. 월드컵의 역사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다양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걸 말합니다. 같은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서검교 숙명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브렌들 교수가 계속해서 좋은 연구를 선보이고 있기 때문에 필즈상 수상이 유력하다고 생각한다”면서, “2014년에는 당시 수상자인 마리암 미르자카니 교수와 소속이 같고 나이가 어려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