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얼굴 인식 기술은 스마트폰의 잠금 해제나 공항 보안 검색, 범죄 수사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올해 4월, 중국 경찰은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해 5만 ... 수백만 마리의 물고기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학습시켜야 하는 만큼 아이팜 완성까지는 6~7년 정도가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상대적으로 태양열을 오래 저장할 수 있다. 그래서 남극의 연평균 기온은 영하 55도 정도이지만, 북극의 연평균 기온은 영하 35~40도로 10도 이상 높다. 남극의 최저기온은 최근 기록을 갈아 치웠다. 올해 6월 테드 스캠보스 미국 국립설빙자료센터(NSIDC) 연구원팀은 남극에서 보스토크기지보다 ... ...
- [별난이름 정리] 미술관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술관에는 매일 수많은 사람이 몰려듭니다. 값으로 환산할 수 없을 정도로 귀한 그림과 조각이 가득하기 때문이지요. 미술관은 작품을 도둑 맞지 않기 위해 치밀하게 감시하지만, 이따금 도난 사건이 일어납니다. 사각지대 없이 보안 요원을 배치한다면 도난을 막을 수 있지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들으라고 권하고 싶어요. 처음에는 수학자와 이론의 이름만 기억하고, 다음엔 1분 정도 이해하고, 그 다음엔 1분이 10분이 되고, 그렇게 늘어나다 나중엔 엄청난 것이 쌓여있을 거예요. 어린 학생들이나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학생도 마찬가지예요. 처음엔 어렵기만 하던 게 익숙해지면 어느 ...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두 개와 그 뒤에 짧은 이 두 개, 아랫니 두 개 등 총 28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어요. 어느 정도 자라면 성장을 멈추는 다른 동물과 달리 토끼의 이빨은 평생 자라요. 그래서 적당한 이빨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선 먹이에 특별히 신경 써줘야 해요. 먹이를 씹으며 이빨을 계속 갈아야 하거든요. 알맹이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전체 길이가 약 15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다. 작가는 이 작품을 1cm 정도인 개미 이마에 올려 촬영했다(오른쪽 박스). 이 작품은 18세기 이탈리아 조각가 안토니오 카노바의 작품인 ‘큐피드의 키스로 환생한 프시케’의 오마주다. 프시케의 아름다움을 시기한 비너스는 아들 큐피드를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측정한다는 게 매우 어려웠다. 애슈킨 연구원은 작은 입자에 빛을 쏴 입자가 가속하는 정도를 측정해 빛의 힘을 재는 방법을 떠올렸다. 이때 그가 선택한 빛은 레이저였다. 햇빛처럼 모든 방향으로 산란하는 빛으로는 작은 입자를 밀기조차 어렵기 때문에 빛을 한 방향으로 집속시킨 레이저가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실려 발목이 바깥으로 꺾인다”고 설명했다.발 스캐너를 밟고 발의 체중 분산 정도를 확인했다. 그 결과 평발인 기자의 경우 발바닥의 아치 부분이 지면에 닿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트레드밀 위에서 걸으며 발 부위를 촬영한 결과 발이 바닥을 밀어낼 때 발목이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모터가 회전하면 반동으로 기체가 튀어 오르는 거죠. 한번 호핑하는 데 최대 15분 정도 소요되고, 최대 15m까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 마스코트에도 마찬가지 역할을 하는 ‘스윙 암’이 달려 있습니다. 그래서 착륙 시에도 필요한 자세를 잡도록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 호핑 방법은 하야부사2에서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인간의 배아를 14일 동안 여성의 몸 밖에서 배양할 기술이 없었거든요. 길어야 7일 정도였습니다. 과학자들은 배아가 자궁에 착상하는 시기(수정 후 6~7일)가 지나면 더 이상 배아를 실험실에서 배양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2016년 5월, 새로운 기술로 배아를 14일까지 실험실에서 배양한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