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8b’라고 이름 붙였다. 이들 외계행성은 크기가 해왕성과 비슷하고, 공전주기가 약 3일 정도이며, 항성과 가까워 1200도가 넘을 만큼 뜨거웠다. 이를 시작으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이전까지 확인되지 않았던 외계행성에 대한 수많은 정보를 관측해 지구로 보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인류가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음성인식에도 딥러닝 학습법을 적용하면서 현재 AI의 음성인식 수준은 (100점 만점에) 96점 정도까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고 말했습니다. 주변에 소음이 있어도 음성을 인식하는 정확도는 90%까지 올라갔다고 합니다. 대화를 하려면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말을 하는 기술도 필요합니다. 장 연구원은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얼굴 인식 기술은 스마트폰의 잠금 해제나 공항 보안 검색, 범죄 수사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올해 4월, 중국 경찰은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해 5만 ... 수백만 마리의 물고기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학습시켜야 하는 만큼 아이팜 완성까지는 6~7년 정도가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상대적으로 태양열을 오래 저장할 수 있다. 그래서 남극의 연평균 기온은 영하 55도 정도이지만, 북극의 연평균 기온은 영하 35~40도로 10도 이상 높다. 남극의 최저기온은 최근 기록을 갈아 치웠다. 올해 6월 테드 스캠보스 미국 국립설빙자료센터(NSIDC) 연구원팀은 남극에서 보스토크기지보다 ... ...
- part 4. 무한히 많은 도시 여행하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가장 최적인 답을 몰라도 비교적 빠른 시간에 최적의 답에 어느 정도 가까운 근사 해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지금까지 찾은 근사 알고리듬 중에 가장 답에 근접한 해를 구해 주는 건 니코스 크리스토피데스가 1976년에 개발한 ‘크리스토피데스 알고리듬’이에요. 201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높다”고 말했다. ‘취업은 잘 되는데 졸업장을 받기가 어렵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공부할 양이 절대적으로 많지만, 그만큼 배울 게 많은 학과라고. 면접의 기본은 예의 18학번 표영욱 한성과학고를 졸업하고 수시 일반전형으로 화학생물공학부에 합격한 표영욱 씨는 어렸을 때부터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들으라고 권하고 싶어요. 처음에는 수학자와 이론의 이름만 기억하고, 다음엔 1분 정도 이해하고, 그 다음엔 1분이 10분이 되고, 그렇게 늘어나다 나중엔 엄청난 것이 쌓여있을 거예요. 어린 학생들이나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학생도 마찬가지예요. 처음엔 어렵기만 하던 게 익숙해지면 어느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그런데 바이러스는 세균과는 전혀 다른 존재예요. 우선 바이러스의 크기는 세균의 1000배 정도로 작아서,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보이지 않는답니다. 가장 큰 차이는 생명체인 세균과 달리,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에 있다는 점이에요. 바이러스는 막대나 공 모양의 매우 작은 단백질 ...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많다. 가장 유명한 예로는 인도에 사는 인도공작(Pavo cristatus)이다. 수컷 인도공작은 20개 정도 되는 긴 꽁지깃을 크게 펼쳐서 암컷을 유혹한다. 반면 뉴기니의 열대우림에만 서식하는 기드림극락조(Pteridophora alberti) 수컷은 눈 뒤쪽으로 안테나처럼 생긴 깃털 한 쌍이 있다. 수컷은 몸길이의 두 배나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척추에 내시경을 투입하기 위해 나사못을 삽입할 위치를 알려주고, 이를 보조하는 수준 정도로 제한적이었다. 기존의 수술 기구를 소형화하거나, 기존 수술 방법과는 다른 방식의 수술 기법은 아직 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 길고 유연한 카테터 단 ‘닥터 허준’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