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딥 임팩트' 우주선 혜성 향해 발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마이클 에이헌은 “충돌은 지구에서 1억2천8백만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지만 지구의
특정
위치에서는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올해 1월 NASA의 혜성 탐사선 ‘스타더스트’ 는 ‘빌트2’ 혜성에 접근해 혜성의 핵을 촬영했지만 직접 혜성에 충돌하는 것은 이번이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들어 키네신은 트랙을 따라 한번에 8㎚씩 이동한다. 따라서 직선형 모터를 짐차로 쓰면
특정
분자, 즉 짐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이 분야에서 연구하고 있는 나노과학자들이 상상하고 있는 응용은 엄청나다. 우리 몸의 한부분에 결함이 생겼을 때 이를 분자셔틀이 인지하고 필요한 분자와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첨가해도 거의 대부분 감염되지 않았다.BORI균은 로타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특정
한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연구팀은 이를 BORI 단백질이라고 이름붙였다. BORI 단백질은 전에 보고된 적이 없는 새로운 단백질로 현재 국제특허 출원 중이다. 장세포 1mL에 로타바이러스와 함께 BORI 단백질을 0.00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반응하는 뇌 부위가 어디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언어 전달과 같은 복잡한 활동에는 뇌의
특정
부분이 아닌 여러 부분이 관여하는데 성별에 따라 관여하는 부분이 다르다. 예를 들어 남성의 경우 좌측 측두엽의 일부분만 사용하는 반면, 여성은 우반구에 있는 다른 영역도 함께 사용한다.하지만 이런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기도 하는데 이때 뇌는 여러 수용체에서 들어온 정보를 종합해
특정
한 냄새 정보로 인식하게 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유해물질을 맞닥뜨리면 저절로 빛이 나도록 했다. 이 누룩세포를 바퀴벌레 등에 붙인 뒤
특정
지역에 침투시키면 유해물질의 존재와 위치까지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콜레라 바이러스를 맞닥뜨렸을 때 녹색으로 빛나는 누룩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벌레는 정보기술에서도 안전감시원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편이를 조사하여 그 운동속도를 구할 수 있는 현미경 동위원소이동을 이용하여
특정
동위원소를 그 스펙트럼선에 동조한 레이저광으로써 선택적으로 들뜨게 하고, 이어 해리·반응 또는 이온화하여 동위원소를 분리하는 방법물에 녹는 염료에 침전제를 넣어 불용성으로 만든 유기안료 불용화하는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형성돼 있었다. 제트류가 시작되는 부분의 남쪽에서는 바람이 불어나간다. 이처럼
특정
지역에서 공기가 퍼져나가는 상태를 발산, 반대로 공기가 모여드는 상태를 수렴이라고 한다.상층에 발산이 생기면 지상에는 상대적으로 수렴이 일어난다. 제트류 시작 부분 바로 아래 지상이 강릉이니 이곳에는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1kHz에서는 좌우로 잘 울려 나갔다. 수직 방향의 가야금 소리는 낮은음(저주파수)에서는
특정
방향으로 지향성이 없지만 주파수가 올라가면서 앞뒤로 잘 퍼져 나갔다. 이런 성질은 밑면의 울림 구멍을 통해 소리가 바닥면을 따라 퍼져 나가는 가야금의 독특한 구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대금의 ... ...
단백질 입체구조 밝혀 신약개발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한다.결정에 X선을 쪼인다. 그러면 단백질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나 배열에 따라
특정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절현상이 일어난다. 원자의 종류와 배열이 단백질마다 다르기 때문에 각 단백질은 고유한 회절패턴을 보인다. 이를 컴퓨터로 분석해 구조를 알아낸다.그런데 만약 단백질이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