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전화 전자파가 DNA 변형시킨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7개국 12개 연구팀이 4년에 걸쳐 실험한 결과 통화할 때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특정
유전자의 활성을 변화시켜 세포분열을 왕성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변화는 정상세포가 암세포가 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한편 전자파를 쐬는 시간이 길고 강도가 강할수록 손상도 심해지는 ... ...
흡수식에 완승 거둔 응축식 냉장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있어야 할 필요는 없었다. 냉매를 가스 불꽃으로 기화시킨 뒤 그 기체를 물과 같은
특정
액체에 흡수되도록 해 응축하는 방식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흡수식 냉장고라고 부른다. 초기의 흡수식 냉장고는 암모니아를 냉매로 썼고, 기화된 암모니아를 흡수하는 액체로 물을 이용했다.처음에는 응축식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여러 가지 물리 현상의 발생은 각 관측자의 입장 또는 좌표계와 상대적이어서
특정
한 관측자(좌표계)를 우선시킬 근거가 없다는 원리 운동이 상대적이라는 것은 경험을 통해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역학 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뉴튼 역학에서는 서로 일정한 속도로 운동하는 관측자(관성계)는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떠올라 자정 무렵 하늘 꼭대기에 떠 있다가 새벽이 되면 서쪽으로 진다. 굳이
특정
시간을 잡아 관측하지 않더라도 혜성을 쉽게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에는 대도시를 벗어난 곳이라면 혜성을 맨눈으로 보기에 어려운 점은 없을 것이다. 스키장에 가서 신나게 놀다가 밤이 되면 불빛이 없는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부분이 모자이크 모양으로 얼룩이 나타나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가 시들며 마른다원소의
특정
X선의 진동수(파장의 역수)와 원자번호의 관계에 관한 법칙 1913년 H G J 모즐리가 실험적으로 증명했으며, N H D 보어의 원자모형에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한 동시에 원자핵 주위의 전자구조 해명의 설마리를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불리는 이 자리는 언어운동을 관장하는 부위다. 그뒤 많은 과학자들이 뇌의
특정
부위와 기능을 연구해 ‘뇌지도’를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좌뇌는 주로 언어능력에 우뇌는 시각능력에 관여한다.그럼에도 대부분의 정보는 좌뇌와 우뇌의 협력 속에서만 제대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뇌가 ... ...
태양흑점 주기 농작물 생산 좌지우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세계대전을 통해 대규모의 경제적 혼란이 있었기 때문에 태양흑점 주기와 농작물은
특정
한 관계가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들은 태양흑점 개수와 밀 가격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태양흑점 개수가 적을 때 밀 가격이 높았던 것. 이들은 이미 지난해 이와 유사한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나노우물의 크기는 단백질 하나가 들어가기에 알맞은 크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에
특정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 같은 단백질을 고정시킨 바이오칩을 만들면 현재 나와있는 칩보다 크기를 훨씬 줄일 수 있다.한편 차세대 DNA칩을 개발하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현재의 DNA칩은 주로 형광물질을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수 있는 것이다.실제 생명체를 살펴 보자. 선충 안에는 하나의 거대한 단백질이 존재해
특정
한 일을 하는 경우가 많다. 축구로 말한다면 뛰어난 개인기를 가진 스타 선수가 혼자 경기를 이끌어가는 것이다.그러나 인간은 여러 개의 작은 단백질이 조합을 이뤄 그 일을 하는 ‘팀 플레이’가 많다.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베를린대 교수로 부임할 때까지 흑체복사를 설명하는 일반적인 공식이 없었다. 플랑크는
특정
한 물체나 물질에 상관없이 언제나 성립하는 일반적인 이론을 만드는데 흥미가 있었다. 따라서 흑체복사 문제는 그에게 더 없는 지적 호기심을 자극했다. 그는 당장 오븐의 복사 연구에 뛰어들었다.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