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자랄 수 있는 형질전환 포플러를 개발하고 있다.경상대 생화학과 이상열 교수도 식물의
특정
단백질이 환경과 스트레스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기능으로 변신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프록시레독신이라는 단백질은 평상시에는 필요이상 세포내에 있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다가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제기하면서 촉발된 분쟁은 최근 소송으로까지 이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LG텔레콤측은
특정
주파수를 한 기업이 독점하는 것은 특혜라고 주장하는 반면 SK텔레콤측은 이 대역을 다른 기업에 공개할 경우 국내 이동전화 가입자의 50%가 넘는 사용자들이 주파수 부족으로 불편을 겪게 될 것이라는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그쪽에는 마치 사물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생각한다. 즉 후두-두정엽 영역은 우리가
특정
한 위치에 주의를 기울여 정보를 선택하고 의식하게 하는 것이다.두정엽과 달리 측두엽에 해당하는 무엇경로에 손상을 입은 환자는 우산이나 열쇠처럼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그림을 보여주고 따라 ... ...
의학과 지질학의 만남, 메디컬 지질학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인간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줬다. 미네랄 성분의 균형이 깨지면서 장기적으로
특정
지역에 고립돼 식생활을 해결해온 인간의 건강에 그 영향이 직접적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광물질에서 나온 칼슘(Ca), 마그네슘(Mg), 철(Fe), 구리(Cu), 아연(Zn)은 동식물의 생존에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과다하게 ... ...
숫자에 숨겨진 저글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던져야 하는 적당한 빈도수를 찾는 중이다. 마치 얼음에서 물로, 물에서 수증기로 바뀌는
특정
한 온도가 있는 것처럼 넛슨 교수는 무작위 저글링에서 공을 높이 던지는 ‘마술의 수’를 찾는 것이다.저글링에 관한 수학적인 ‘상상’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만약 저글러의 손이 두개가 아니라 여러 ... ...
보약 못지않은 녹황색 채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바뀌지만 섭취 후 장내에서 다시 아스코르빈산으로 바뀌기 때문이다.코호트 연구 |
특정
한 위험요소를 갖고 있는 집단을 계속 지켜보면서 그 위험요소가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지 알아보는 연구. 이 연구가 의미가 있으려면 연구할 집단의 규모가 커야 하고, 집단에 속한 각 대상을 지속적으로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절약하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난류에 대한 성 교수의 설명이 이어진다. “난류는
특정
지역에 편중된 태양에너지를 지구 전역에 최대한 빠르고 고르게 전달하는 성질이 있어요. 기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복잡한 움직임을 정확하게 예측해 기체를 설계한다면 공기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늘 가던 길을 고집하고
특정
한 의자에만 앉으려고 하는 등 행동패턴이 고정돼 있다. 한편
특정
한 대상에 관심이 쏠려있는데 영화에서 초원이는 얼룩말 무늬에 그렇다. 얼룩말 무늬 치마를 입은 여자를 보고 다가가 엉덩이를-사실은 치마를- 쓰다듬다가 옆에 있는 여자의 애인에게 두들겨 맞는 장면이 ... ...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부추겨 진화 속도를 빠르게 한다”고 설명했다.실제로 핀치 부리의 다양한 모양도
특정
유전자가 발현하는 시기와 양에 따라 결정된다. 지난해 미국 하버드대 의대 클리포드 타빈 박사 연구팀은 씨앗을 깨는데 알맞은 둥근 부리 핀치 3종과 과즙을 먹는데 알맞은 뾰족 부리 핀치 3종의 발생과정을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기준을 땅밑 지질로 삼느냐 아니면 땅위 지형으로 삼느냐’하는 산맥의 개념 문제와 ‘
특정
산맥이 존재하느냐 아니냐’하는 실체 문제였다. 이처럼 20년이 넘도록 지속돼 온 한반도 산맥체계에 대한 논쟁, 즉 ‘현행교과서의 산맥체계’와 ‘산경표의 백두대간 체계’사이의 과학적 증거 없는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