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3년 10대 연구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재발하지 않았다.한국인 과학자가 이끈 연구도 눈에 띈다. 바로 정광훈 미국 스탠퍼드대
박사
후연구원이 주도한 ‘뇌를 투명하게 보는 기술’. 연구진은 생쥐의 뇌에서 지질 성분을 제거해 뇌의 구조 신경세포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이번에 선정된 과학 뉴스에는 생명과학 분야가 ... ...
생물처럼 말랑말랑한 ‘소프트 로봇’ 나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알고리듬으로 표면 형태를 조절하면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드 시몬
박사
는 “톱니바퀴나 모터가 들어가는 로봇은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미래의 마이크로 로봇은 점점 더 생물처럼 부드럽고 유연해질 것”이라며 “유글레나가 움직이는 원리를 적용하면 세포 ... ...
비트코인도 털린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통제하는 세력이 생길까봐 우려하고 있다. 미국 콘웰대 컴퓨터과학과 이대이 에얄
박사
연구팀은 비트코인 시스템의 치명적인 오류를 발견했다고 지난 11월에 발표했다. 비트코인의 마이닝 특성상 한 집단이 시장을 독점할 수 있다는 것이다.사실, 그 전에도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마이너들의 절반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만에 결정을 만들지만 운이 나쁜 사람은 수 년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이지오 교수는 “
박사
논문을 준비할 때 결정을 얻어내는 데만 4년이 걸렸다”고 회상했다. 심지어 누군가 먼저 발견해 버리면 오랜 시간 들인 노력이 물거품으로 돌아간다. 단백질을 결정으로 만들어 해석하는 일은 그만큼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게 아닙니다. 촉각에는 숫자로만 설명하기 어려운 감정도 포함되는 것 같아요.”박연규
박사
가 말했습니다. 과연 인공촉각 기술이 기러기 아빠들의 외로움을 달래줄까요. 그때 인류는 더 행복해질까요, 아니면 더 불행해질까요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개발이 끝나 다른 이터 실험을 할 때만 조금씩 쓰고 있지요.”박수현 이터한국사업단
박사
가 말했다. 건물 입구로 들어서자 가장 먼저 어지간한 가정집 크기는 돼 보이는, 거대한 원통형 금속구조물이 나왔다. ‘진공열처리로’라는 장치였다. 초전도체가 되려면 자석을 65℃로 100시간 데워야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높이 200km 분수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때와 유사한 조건이 만들어질 수 있다. 또 바다로 들어가는 통로를 만들어준다. 로스
박사
는 “유로파가 목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만 발생한 점을 보아 목성과의 기조력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
‘노벨 화학상 두 번’ 프레데릭 생어 별세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수상했다. 노벨상의 역사에서 한 사람이 한 분야의 상을 두 번 받은 경우는 생어
박사
를 포함해 두 명에 불과하며, 화학상에서는 유일하다. 두 번째 노벨상을 안겨 준 생어 기법은 빠르고 정확하게 DNA 염기 서열을 해독하는 기술로 최초로 인간의 유전체 전체를 해독하는 ‘휴먼게놈프로젝트(2003년 ... ...
[만화뉴스] 수학자, 최고의 ‘신의 직업’으로 꼽혀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말로, 많은 구직자들이 동경하는 대상이다.직업정보전문가로 저명한 로렌스 샤트킨
박사
는 최근 미국 내 ‘신의 직업 베스트 15’를 미국 경제지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발표했다. 미국 내 공식적인 747개의 직업의 스트레스 지수와 연봉을 미국 노동통계국과 직업정보네트워크(Onet)의 자료에 근거해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불리게 됐다)을 도입하면 CP대칭이 깨지지 않을 수 있다는 설명을 내놓았는데, 고 이휘소
박사
컨퍼런스에서 바로 이 주장이 화두가 됐다. 스티븐 와인버그와 프랭크 윌첵이, 페체이와 퀸의 가설을 따르면 새로운 입자가 나타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액시온’이라는 입자였다. “발표가 끝나자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