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넘어가는 중간 과정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미국 유타자연사박물관 스콧 샘슨
박사
는 저서 ‘공룡 오디세이’에서 “깃털 자체가 새끼나 알의 보온 이전에, 체열 보온을 위한 것이라는 증거”라고 말했다. 외온성과 내온성 어느 한 쪽에 속해서는 거대한 몸집을 발달시킬 수 없다는 사실도 증거로 ... ...
총기사고 막는 스마트 총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인식해야 발사가 되는 등 다중 안전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연구를 주도한 스티븐 테렛
박사
팀은 뉴저지 일부 주는 이미 기술을 적용하도록 법까지 개정해 둔 상태라고 밝혔다 ... ...
빛으로 부활한 마크 로스코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 증강현실 기술을 선보였다.미국 하버드대 미술관 젠스 스텐저
박사
팀은 1963년에 작품을 찍은 코닥 흑백 필름 사진을 참고 자료로 활용했다. 이 사진 역시 오래돼 색이 변한 상태였지만, 붉은 염료만 집중적으로 변색한 원본과 달리 전체 색상이 바랜 상태였다. 따라서 시간에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얻은 결과’라며 게재를 거절당했다. 네이처 편집진조차 믿기 어려웠던 것이다.필자가
박사
과정 중 2006년 야마나카 신야 교수의 유도만능줄기세포 논문을 게재 전에 검토한 적이 있는데, 필자가 있던 실험실 동료들은 불가능한 연구라며 ‘게재 불가’ 판단을 내렸다. 하지만 얼마 뒤 이 논문이 ... ...
인공위성이 바닷속 고래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해안 113km2 지역에 서식하는 남방긴수염고래 91마리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프렛웰
박사
는 “인공위성 촬영 방식은 90% 정확도를 갖는다”고 밝혔다.그는 과거에도 같은 방식으로 남극대륙을 촬영해 황제펭귄의 생태를 분석하기도 했다. 이 연구결과는 ‘플로스원’ 2월 12일자에 실렸다 ... ...
15분 덜덜… 1시간 운동 효과?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백색지방이 갈색지방으로 변환되는 비율이나, 열을 발산하는 정도도 비슷했다.리
박사
는 “추워서 떨 때나 운동을 할 때 몸에서 똑같이 이리신이 분비되는 것을 보면 두 현상이 같은 유전자에서 비롯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둘의 공통점을 활용하면 비만 치료에 저체온을 이용할 수 있을 ... ...
136억 살 최고령 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초기 우주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좀 더 명쾌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켈러
박사
는 “우주 나이와 비슷한 원시 별의 흔적을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번 발견으로 초기 우주의 모습을 좀 더 명백하게 밝힐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우리 은하에서 발견된 이 별은 ... ...
출동! 명예기자 8기 명예기자 발대식 현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다함께 힘을 합쳐 하나의 기사를 완성했답니다. 스스로 해낸 명예기자들과 섭섭
박사
님은 모두 흐뭇한 표정으로 수업을 마쳤어요.기자 역할을 맡아 직접 기사를 작성한 성남초 조성빈 명예기자는 “친구들과 함께 힘을 합쳐 신문을 완성해 뿌듯했다”고 소감을 말했어요. 편집장 역할을 맡아 기사 ... ...
진실 혹은 거짓 달 미스터리 7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보고 계시군요! 제가 가서 달에 관한 미스터리에 대해 자세하게 여쭤보도록 하겠습니다.
박사
님~!미스터리 1 달은 지구에서 분리되면서 만들어졌다고요?글쎄요. 달의 탄생에 대해 여러 가설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일 뿐이죠. 현재 가장 유력한 가설은 ‘대충돌설’이에요. 최근 달이 지구의 고리에서 ... ...
철새 떼가 V자 그리며 날아가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위해 이렇게 날 거라고 추측만 했었답니다.그런데 영국 왕립수의대학교 스티븐 포르투갈
박사
팀이 붉은볼따오기 떼를 관찰해서 실제로 철새가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V자 대형으로 난다는 증거를 찾아냈어요. 연구팀은 붉은볼따오기 14마리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관성측정장비를 붙였어요.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