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미가 알려 주는 ‘기사의 여행’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체스판의 64개 정사각형을 모두 밟을 수 있을까?최근 영국 노팅엄 대의 그레이엄 켄달 박사가 수학자들에게 ‘기사의 여행’이라는 문제로 유명한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내놓았다. ‘기사의 여행 문제’는 64개의 정사각형을 모두 거쳐 출발한 곳으로 돌아오는 ‘닫힌 여행’과, 출발점과 도착점이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이 아늑한 집을 새끼에게 물려주기도 했다. 미국 몬타나주립대의 데이비드 바라치오 박사는 공룡이 굴 파기 전략을 개발해 사막이나 극지방 등 극단적인 기후에서도 살아남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중생대에도 비슷한 전략을 편 공룡이 실제로 있다. 땅 속으로 들어간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 ...
- 우주선이 뼈처럼 가벼워질까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쬘 수 있게 해주는 레이저 기술이 개발된 덕분에 ‘꿈의 소재’가 탄생한것이다. 바우어 박사는 이 소재가 “항공기나 우주선 등 첨단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11일자에 실렸다 ... ...
- 400년 만에 ‘新다면체’ 발견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다면체를 수학적으로 약간 수정해 구 형태의 다면체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세인 박사는 “처음 이 형태를 봤을때 다면체가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며 “연구가 진행되면서 기존 다면체의 틀을 뛰어 넘는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설명했다.수천 년 전 고대 그리스 플라톤 학파가 현재 우리가 ...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사례를 찾기 더 쉽다. 프랑스 몽펠리에 2대학 진화과학연구소의 미셸 레이몽 박사는 저서 ‘우리는 왜 먹고, 사랑하고, 가족을 이루는가?’에서 로마시대부터 프랑스 절대왕정시대까지 숱한 ‘권력자’들이 수십, 수백 명의 아내나 여성 노예를 거느렸던 사례를 상기하며 인간에게는 1부다처의 ...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동대는 첫 해를 무사히 보내겠다는 다짐으로 가득하다. 정호성 박사는 “세종기지를 처음 세웠을 때도 과연 무사히 겨울을 보낼 수 있을지 다들 걱정했다”며 “이미 월동을 경험한 베테랑들이 모인 만큼 훌륭히 겨울을 보낼 것”이라고 신뢰를 보냈다.3월, 장보고기지 건설에 ... ...
- 서울대 가서 망했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탄생을 독특한 관점으로 개성 있게 집대성한 책이다. 소행성과 지구의 충돌을 주제로 박사 논문을 쓴 저자가 우주와 태양계의 주요 국면을 ‘충돌’을 핵심어로 삼아 다시 쓴 책이다. 충돌은 만남이 전제돼야 하므로, 우주는 곧 만남으로 이뤄졌다는 발상이 재미있다.화학 전공자인 저자가 화학의 ... ...
- [뉴스포커스] 2014년은 ‘한국 수학의 해’ 수학, 산업을 이끈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응용수학연구소장이 기조연설에 나섰다. 프랑스 피에르 앤드 마리 퀴리대에서 수치해석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유럽수학회 응용수학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지난해 국제산업응용수학회 차기 회장으로 선출된 석학이다. 수학동아에서 마리아 에스테반 소장을 직접 만나봤다. 에스테반 교수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소련은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 노보시비르크 등의 도시별로 수학 문화가 서로 달랐다. 박사과정 첫 번째 지도교수였던 대수학자 이고르 프랜켈은 레닌그라드 출신, 그리고 지금 절친한 동료인 수리논리학자 보리스 자이버는 노보시비르크 출신이라 나는 간접적으로나마 소련을 넓게 체험한 ... ...
- [수학뉴스] 쌍둥이 소수 추측, 서서히 결말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수학자들이 그 간격을 더욱 좁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몬트리올대의 앤드류 그랜빌 박사는 “메이나드의 방법은 무척 간단하여 대학원 과정에서 가르쳐도 될 정도”라며, “수학자들의 협업을 통해 쌍둥이 소수 추측 문제가 조만간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