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에어로졸 상태로 성층권에 머물면서 태양복사를 차단해 전 지구적인 화산 재앙을
초
래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수년 동안 전 세계 곡물 재배에 악영향을 줘 장기간 식량 수급에도 타격을 줄 것이다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물 분자들이 결합됐다 깨졌다 한다. 어느 정도로 심하냐 하면 물의 수소결합은 1조분의 1
초
도 유지되지 않는다. 36℃ 이하에서 물은 열을 받으면 물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커지며 온도가 올라가는 게 아니라 수소결합이 깨진다. 때문에 물 분자가 쉽게 흥분하질 못한다. 하지만 36℃ 이상이 되면 물도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방 안에 자연을 그대로 담고 있는 수조 하나를 놓아 보자. 수
초
와 물고기와 보이지 않은 미생물이 어우러진 생태계의 매력에 흠뻑 젖을 수 있을 것이다 ... ...
고성능-고효율 컴퓨팅을 향한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그러다 보니 시스템소프트웨어의 아주 작은 비효율도 크나큰 성능 손실로 이어진다. 1
초
에 100억 번의 판단을 내리는 최신 프로세서에서 운영체제가 1%만 비효율적이어도 1시간이면 3600억 번의 계산을 놓치게 된다. 실로 엄청난 손해다. 결국 시스템소프트웨어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시스템을 ... ...
극한이의 위기탈출 넘버3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대표적인 스포츠는 스카이다이빙입니다. 보통 3000∼4000m 상공에서 뛰어내리지요. 보통 45
초
에서 1분 동안 하늘을 나는 짜릿함을 즐길 수 있어요. 추락이 아니라 하늘을 난다고 표현하는 이유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기 때문이랍니다. ... ...
내 물리 실력 한눈에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수 있을 것이다.이영백 한국물리학회 회장(한양대 물리학과)은 “물리인증제가 앞으로
초
·중·고교 물리 시험의 지표가 될 것”이라며 “국민들에게 물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학교에서 물리 교육 정상화도 이끌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유인등대인 셈이다.녹색 만나면 오른쪽, 적색 만나면 왼쪽육지에서 튀어나온 바위, 암
초
,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바위섬 등에는 거의 대부분 항로표지가 설치돼 있다. 해난 사고를 막기 위해서다. 그렇다고 등대나 등탑, 부표 등이 무조건 피해야 하는 기피 대상은 아니다. 특히 여러 대의 선박이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출력의 비밀은 엔진의 회전 속도에 있다. F1 머신의 엔진은 1분에 1만 8000번을 회전한다.
초
당 300번을 회전하는 셈이다. 이에 반해 일반 승용차의 엔진은 고속에서 1분에 3000~4000번을 회전한다.머신의 외형 디자인도 엔진의 출력을 높인다. 운전석 바로 위에 있는 인덕션 포트는 최대한 빨아들인 공기를 ... ...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정 교수는 어렸을 때부터 전자기기를 좋아했다고 털어놨다.
초
등학생일 때도 손수 6석 라디오나 무전기를 만들며 전자공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꿈을 가졌다.중학교 시절에는 토요일만 되면 세운상가를 돌아다니며 트랜지스터, 저항, 콘덴서 등을 사다가 전자회로를 ... ...
기
초
과학 위에 세운 첨단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전공자는 의학적 기
초
와 임상학적 응용 교육을 받는다. 의학계 전공자는 공학의 기
초
와 심화, 응용을 체계적으로 배운다. 또 학생이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직접 내고 연구하는 연구형 수업을 실시한다. 여기에는 GIST의 이공계 교수진과 함께 GIST의 협력기관인 의과대학 교수와 임상의사가 참여한다.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