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핵융합실험로 가운데 현재 운영에 성공한 것은 한국의 KSTAR와 중국의 EAST뿐이다. 그 중
초
전도 재료로ITER와 똑같은 니오븀주석합금(Nb3Sn)을 이용한 것은 KSTAR뿐이다. 따라서 KSTAR가 이룩한 운영 성과는 ITER의 성공에 대단히 중요하다.두 번째 이유는 막대한 재원과 긴 시간이 필요한 핵융합에너지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데 다른 선진국보다도 유리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기
초
연의 박영목 박사와 유종신 박사는 2006년 11개국 20개 연구팀과 함께 인간 뇌 조직을 질량분석기법으로 분석해 세계적인 단백질체 학술지 ‘프로테오믹스’ 9월호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과학기술부의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정말로 뒤로 날아가 쓰러지게 될까? 총탄의 속도 변화가 없고, 총탄의 에너지가 0.01
초
만에 모두 전달된다고 가정할 때 악당이 움직이게 될 거리는 얼마인가?전문가 클리닉 미디어를 통해 얻는 여러 정보 중에는 잘못됐거나 일부러 거짓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있습니다. 이때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라고 생각한다. 고대백제 민족의 원형을 묘사한 백제금동대향로에서 우리 문화의 원
초
적(原初的)인 유형을 찾을 수 있었다는 것은 필자만의 생각일까. 도시도, 아름다운 백제의 향로도 가상공간을 통해 전달할 수 있게 됐다. 비록 디지털이 만든 가상의 모습이지만 이런 가상현실이 만들어 줄 수 ... ...
[물리] 전기회로 집중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1C은 1A 전류가 흐르는 회로의 한 단면을 1
초
동안 지나는 전하량이다. 일정한 전류(I)가 t
초
동안 흐르면 도선의 단면을 통과한 전하량은 다음과 같다. Q=It (전류 I는 단위시간(1
초
)동안 회로의 한 점을 지나는 전하량이다.)기전력건전지나 발전기는 전류가 흐르더라도 두 단자의 전위차를 일정하게 ... ...
PART 1 수학이 사라진 아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수정진동자는 1
초
에 3만 3768회 진동하는데, 이것을 전자회로로 세어 숫자판에 표시하거나
초
침을 움직인다. 전자시계는 기계시계에서 태엽 대신에 수정진동자만 달라졌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수학이 적용된 탁상시계는 수학방해파의 영향으로 작동을 멈춘 것이다.그럼 휴대전화는 어떨까 ... ...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대회를 오래도록 기억할 것 같아.한 가지 아쉬운 것은 수학과 관련된 문화프로그램과
초
·중·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프로그램이 없다는거야! 우리나라에서 할 때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으면 좋겠어.나도 열심히 수학공부해서 4년, 8년, 12년…, 뒤에는 당당하게 국제수학자대회 무대에 오르고 ... ...
도로 해부하기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한다. 직선 구간을 오래 달리면 운전자가 졸기 쉽기 때문이다.우리나라 도로는 차가 70
초
넘게 직선 구간을 달리지 않도록 만든다. 설계속도*를 시속 120km로 만든 고속도로에서는 2.3km마다 곡선 구간을 넣게 한다.곡선 구간은 속도를 크게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즐기는 축제가 되면 좋겠어요”라고 하셨어. 벌써부터 내년 제주수학축제가 기대되는 걸?
초
청 강연 제주수학축제에서 또 하나의 빼놓을 수 없는 시간! 교수님들의 강연시간이야. ‘수학콘서트’를 지으신 박경미 교수님의 강연도 훌륭했지만 수학동아와 인연이 깊은 이광연 교수님의 강연도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구할 수 있다. 이처럼 적분은 넓이를 구하는 것에서 출발했다.그리고 이 적분은 17세기
초
케플러에 의해 다시 나타났다. 케플러가 살던 때 포도주의 가격은 포도주 통 안에 막대를 넣어 포도주가 채워져 있는 높이를 재서 결정했다. 그런데 이 방법에는 문제가 있었다. 포도주를 담는 통이 배가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