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꿈의 대회 창시자는 나! 콘스탄티노프수학동아 l2010년 12호
- 후반 러시아는 매년 치러지는 소련 수학올림피아드의 열기로 가득했습니다. 1960년대 초에 만들어진 소련 수학올림피아드는 안드레이 콜모고로프 교수가 이끄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의 수학자들이 문제를 내고 채점을 맡았죠. 저도 여기에 참여했습니다. 그런데 대회 규모와 관심이 ... ...
- 대학 입학 수학 시험, 그림으로 풀다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수학 수업도 ‘기하학’ 수업을 제외하고는 받아들이기 쉽지 않았어. 왜냐하면 20세기 초 프랑스 수학계는 직관보다는 정확한 논리와 형식을 중시하는 연구, 즉 정통 수학 중심이 됐거든. 나는 정확한 논리와 형식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가장 힘들었네. 난 어떠한 수학 문제든 그림을 그려 해결하는 ... ...
- 함께 그려 보는 프랙탈 아트수학동아 l2010년 12호
- 무한히 반복되는 프랙탈의 매력에 푹 빠졌다고 한다. 프랙탈이 주목받지 못하던 1990년대 초, 프랙탈에 대한 박 교수의 열정은 아무도 막을 수 없었다.프랙탈을 그릴 수 있는 프로그램 설명서를 구하기 위해 일본으로 달려갔을 정도다.박 교수는 프랙탈 아트를 이렇게 설명했다. 하얀 도화지에 색색의 ... ...
- 산타의 비밀수학동아 l2010년 12호
- 20초, 다음 집까지 이동하 는 데 10초, 창고에서 출발할 때 썰매를 점검하고 올라타는 데 10초가 필요해.이렇게 하면 선물을 가득 실은 썰매를 끌고 가 선물을 주고 창고로 돌아오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지. 6시간 41분(=10+30+(20+10)×799+20+30)이야. 선물을 나눠줄 수 있는 시간이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오상호 선임연구원은 “새롭게 개발한 소파블록을 현장에 설치할 때 수조 실험 결과가 기초적인 설계 자료로 활용된다”며 “방파제를 비롯해 조력발전용 수문 같은 각종 해안구조물을 설계할 때도 수조 실험을 항상 먼저 한다”고 말했다. ... ...
- “소행성, 바다에 떨어지면 거대한 오존 구멍 생긴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8km의 속력으로 지구의 북반구에 45°로 충돌하는 상황을 가정했다. 연구진은 충돌 후 2분 30초가 지나면 지상으로부터 400km 위로 바닷물이 솟구치고, 충돌지점으로부터 1000km 지점까지 바닷물이 퍼질 것으로 예상했다.그리고 고온으로 인해 공기 중의 산소와 질소가 반응해 일산화질소가 만들어진다. 또 ...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것이다.칠레 광부들 이외에도 극한환경에서 살아 돌아온 사람들은 적지 않다. 올해 초 지진으로 20만 명의 사망자를 낸 아이티에선 건물 잔해에서 12일 동안 매몰되어 있던 30대 남성이 구조됐다. 다리에 골절상을 입고 물조차 마시지 못해 심각한 탈수 상태에 있었으나 결국 살아남았다. 국내에서도 ...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있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데 다른 선진국보다도 유리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기초연의 박영목 박사와 유종신 박사는 2006년 11개국 20개 연구팀과 함께 인간 뇌 조직을 질량분석기법으로 분석해 세계적인 단백질체 학술지 ‘프로테오믹스’ 9월호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과학기술부의 ...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황금이 효과가 있고 생강이나 감잎, 도토리잎 등도 마찬가지다. 오미자, 단삼, 감초, 자초, 고삼 등도 효과가 좋고 솔잎, 백작약, 오갈피 등도 약간이나마 김치 젖산균이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연구돼 있다.지난 3월 문을 연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박완수 소장은 취임 당시 ...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정말로 뒤로 날아가 쓰러지게 될까? 총탄의 속도 변화가 없고, 총탄의 에너지가 0.01초만에 모두 전달된다고 가정할 때 악당이 움직이게 될 거리는 얼마인가?전문가 클리닉 미디어를 통해 얻는 여러 정보 중에는 잘못됐거나 일부러 거짓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있습니다. 이때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