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83의 속도까지 가속하는 데 성공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태평양 3.4km 상공에서 마하 9.68로 10
초
간 비행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올해 5월에는 X-51 무인항공기로 비행 시간 기록을 200
초
(속력은 마하 5)로 늘리기도 했다. 하지만 스크램제트에 로켓 또는 터보제트 엔진을 결합한 복합 엔진은 조금 늦게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는 분야는 다양하다. 먼저 쉽게 접할 수 없는 멸종위기 야생동물을 연구할 수 있는 기
초
자료가 된다. 최근 대구에 서식하는 수달과 경북 울진에 사는 산양의 개체수를 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밝힌 연구도 유전자원은행의 연구 덕분이다. 또 우리나라의 고유종과 자생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밝히는 ... ...
산업에서 의료까지 레이저가 다듬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짧은 시간 동안 레이저를 쏘는 펨토
초
(1fs = 1000조 분의 1
초
)레이저가공도 하고 있다. 펨토
초
가공은 열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재료에 구애받지 않고 가공한 면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한의사와 레이저 침 치료기 개발 레이저나노가공 연구실은 레이저가공기술이 필요한 광기술업체와 학내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저만의 특기로 무엇을 집중적으로 단련해야 할까요?” “수학은 과학을 연구하기 위한 기
초
학문이고, 자연계 입시에서도 가장 중요한 과목이야. 그러니까 다른 과목보다 수학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게 좋을 것 같다. 경시대회도 준비하고 다양한 학습을 해보렴. 그러기 위해서는 선행학습이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것이다.칠레 광부들 이외에도 극한환경에서 살아 돌아온 사람들은 적지 않다. 올해
초
지진으로 20만 명의 사망자를 낸 아이티에선 건물 잔해에서 12일 동안 매몰되어 있던 30대 남성이 구조됐다. 다리에 골절상을 입고 물조차 마시지 못해 심각한 탈수 상태에 있었으나 결국 살아남았다. 국내에서도 ... ...
카운트다운,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준비가 한창이에요.나로호는 지난 2009년 8월 19일 오후 5시에 발사 예정 시간을 7분 56
초
남겨 두고 자동발사 시스템에 오류가 생겨 발사가 중지 됐었어요. 일주일 뒤에 불꽃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아올랐지만, 위성덮개인 페어링이 분리되지 않아 목표 궤도에 오르지 못했지요.이번에 발사될 나로호는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 공이 튀는 까닭은?공을 땅에 떨어뜨렸을 때 한 번 ‘통’하고 튀는 시간은 수천 분의 1
초
! 그 사이에 공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기에 튕겨나오는 걸까? ❶ 공은 안에 들어 있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사방으로 골고루 힘이 작용하는 상태이다. 그 결과 동그란 모양을 유지한다.❷ 공이 어떤 힘을 받아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핵융합실험로 가운데 현재 운영에 성공한 것은 한국의 KSTAR와 중국의 EAST뿐이다. 그 중
초
전도 재료로ITER와 똑같은 니오븀주석합금(Nb3Sn)을 이용한 것은 KSTAR뿐이다. 따라서 KSTAR가 이룩한 운영 성과는 ITER의 성공에 대단히 중요하다.두 번째 이유는 막대한 재원과 긴 시간이 필요한 핵융합에너지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데 다른 선진국보다도 유리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기
초
연의 박영목 박사와 유종신 박사는 2006년 11개국 20개 연구팀과 함께 인간 뇌 조직을 질량분석기법으로 분석해 세계적인 단백질체 학술지 ‘프로테오믹스’ 9월호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과학기술부의 ... ...
“소행성, 바다에 떨어지면 거대한 오존 구멍 생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8km의 속력으로 지구의 북반구에 45°로 충돌하는 상황을 가정했다. 연구진은 충돌 후 2분 30
초
가 지나면 지상으로부터 400km 위로 바닷물이 솟구치고, 충돌지점으로부터 1000km 지점까지 바닷물이 퍼질 것으로 예상했다.그리고 고온으로 인해 공기 중의 산소와 질소가 반응해 일산화질소가 만들어진다. 또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